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아동학대와 탄력성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전수조사 결과에서 학대경험이 있는 사례 419부를 선별하여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 가정의 아동학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아동학대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가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가 낮은 경우에 학교적응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다문화 아동의 일반적 요인은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아동의 탄력성이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탄력성은 다문화 가정의 아동학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가정에서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impact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the study focuses on examining child abuse and reilience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For this aim, it takes analysis target by selection of 419 case study on abuse exerience on the basis of th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results of mul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verification on the impact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the physical abuse and the emotional abuse, the lower class factor in child abuse, was found as factors influencing having negative impact to the adjustment to schools. It indicated that lower physical abuse and emotional abuse on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related to higher adjustment to schools. Furthermore, Generally factors of multicultural children was showed the higher the financial level of a family was the higher the adjustment to schools. The impact resilienc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s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the resilience had positive impact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s. It suggested that higher resilience meant better adjustment to schools. The moderated effect of resilience was analyzed. The resilience didn’t have the control effect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child ab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their adjustment to schools. Findings indicate that futh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implication of enhancement of adjustment to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