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40여 년 동안 제주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에 대하여 지역 주민의 농촌적 특성이 케이블카 설치정책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 분석을 위해 제주도민 963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읍면지역에 거주하며 농어업에 종사하는 주민은 비농어업 분야에 종사하는 도시거주 주민보다 케이블카 설치정책에 대한 수용 확률이 15.2% 낮게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기타의 설명변수 중 제주도정에 대한 주민의 인식, 성별, 연령은 α =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지방 정부가 도민 중 절대 다수인 도시지역 주민의 의사에 따라 정책을 계속 결정할 경우 다른 의견을 가진 소수 집단 주민의 의견은 정책과정에서 계속 소외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통합적 관점에서 정책집행을 하기 위해서는 소수 집단의 가치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정책과정에서 소수 집단의 참여와 논의가 보장되어야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impact of policy target group's rurality on the policy acceptance in a case of ropeway establishment in Mt. Halla which has been a hot issues for last 40 years in Jeju Island. This study used a 963 sample from Jeju residents and the data were analysed by a logistic regression model in order to know the probabilities of acceptance in local government's ropeway establishment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resident of rural area whose occupation is either agriculture or fishery has a 15.2 percent lower acceptance rate in ropeway establishment than a resident of urban area with non-farming or non-fishing job. Other four independent variable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α = 0.01 level i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implies that a rural resident as a social minority group will be isolated in the policy process if local government would keep on making a policy decision based on majority rul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articipation of minorities and deliberation for minority groups be guaranteed to reflect their values in the policy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