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06년 ISSP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 일본, 대만의 분석을 통해 일반시민의 신뢰향상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국가중심적 접근방법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신뢰증진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첫째, 한국, 일본, 대만 모두 복지정책과 실업억제와 같은 정부정책의 효과가 일반시민의 신뢰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에 대한 일반시민의 정치적 투입(input)과 영향력의 인식정도를 의미하는 정치효능감의 면에서 일본을 제외한 한국과 대만의 경우 일반시민의 신뢰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일본, 대만 모두 복지와 실업억제와 같은 정부정책의 집행이 신뢰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선진국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한국과 대만의 경우 신뢰증진을 위해 정부가 정책적 노력과 함께 국민들의 정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ole of government in increasing trust in the frame of state-centered approaches and suggest possible policy directions for it. Using 2006 ISSP data of Korea, Japan and Taiwa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first, the effects of welfare and unemployment policies on the citizens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generalizing trust in all three nations. Second, in the area of political efficacy, which implies political inputs and influences of the citizens on their governments, Korea and Taiwan have an impact on increasing trust. In all three nations, the effective execution of government policies such as welfare and unemployment policies ha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trust. Unlike Japan, however, Korea and Taiwan, with their entry into developed countries approaching, need to prepare policy measures and more actively seek ways to enhance political efficacy of their citizens in order to increase trust in both n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