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에 발표된 글로벌혁신지수(GII)에 초점을 맞춰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GII의 타당도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한 고려사항을 검토하고자 한다. 2014 GII 분석결과, GII 모형은 타당성 및 신뢰성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제도, 인적자본 및 연구, 인프라, 시장 성숙도, 기업 성숙도, 과학적 성과, 창조적 성과는 타당도분석에서 단일차원성과 집중타당성, 그리고 판별타당성과 같은 구성개념타당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신뢰도 분석결과에서 시장 성숙도, 기업 성숙도, 과학적 성과 측정지표들의 신뢰도는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GII 모형검증을 위한 고차요인분석결과에서 GII 모형적합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고 세부 측정모형의 평가에서 인적자본 및 연구의 측정지표인 고등교육, 연구개발, 인프라의 측정지표인 전반적 인프라, 시장 성숙도의 측정지표인 신용, 무역과 경쟁, 기업 성숙도 측정지표인 혁신연계, 지식흡수, 과학적 성과 측정지표인 지식 파급효과, 지식확산, 창조적 성과 측정지표인 무형자산, 온라인 창조성 등의 측정오차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어 GII 모형과 자료가 잘 부합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는 향후 개선된 GII개발을 위한 고려사항을 검토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2014 Global Innovation Index (GII)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GII.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 that the constructs of institutions, human capital & research, infrastructure, market sophistication, business sophistication, knowledge & technology outputs, and creative outputs have low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riteria-related validity. Furthermore, the higher order factor analyses indicate that the fit indices of the GII model are low. In the measurement model, tertiary education, R&D, general infrastructure, credit, trade & competition, innovation linkages, knowledge absorption, knowledge impact, knowledge diffusion, intangible assets, and online creativity have high measurement errors. The results suggest a bad fit to the dat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some considerations to improve the G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