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addresses the research question, "Who is more likely to use email: high-level or low-level employees?" In discussing the question, this study reviews important literature on CMC, particularly focusing on methodological issues, and suggests two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the findings of researchers such as Rice, Hughes, & Love (1989), Rice & Torobin (1992), and Markus (1994a; 1994b) are inconsistent with what information richness theory suggests (e.g., Daft & Lengel, 1986; Daft, Lengel, & Trevino, 1987). This contradiction might be explained by a method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researchers – e.g., the "observational and experimental" method in Markus (1994a; 1994b) and the "projective" method used by Daft et al., 1987). Second, as the use of email becomes widespread, researchers’ interests have moved from testing whether or not managers are more likely to use email than lower level workers to identifying motivational differences between higher-level and lower-level employees in choosing the medium.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suggestions for overcoming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reveal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본 연구는 “조직 상위층 (또는 관리층) 과 하위층 구성원들 중 누가 더 이메일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가?” 라는 연구질문을 제기한다. 이 연구질문에 대한 깊이있는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컴퓨터 매개성 의사소통”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들을방법론적 측면에 강조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중요한 두가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Rice, Hughes, & Love (1989), Rice & Torobin (1992), 그리고 Markus (1994a; 1994b)의 연구결과는 Daft & Lengel (1986), 그리고Daft, Lengel, & Trevino (1987)와 같은“information richness” 이론가의 주장과 서로 상충하는 부분이 있다. 이와 같은 상충성은 두 그룹의 학자들 간에 서로 다른 방법론을 사용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전자인Markus (1994a; 1994b)는 관찰 및 실험 (observational and experimental) 방법을 이용한 반면, 후자인 Daft, Lengel, & Trevino (1987)는 투사(projective)적 접근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이메일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연구자들의 연구초점은 관리자들이부하들보다 이메일을 더 사용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에서, 두 계층의 구성원들 간에 이메일을 사용하는 동기에차이가 있는지 탐구하는 것으로 이동하였다. 결론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드러난 방법론적 한계점의 극복을 위한 몇가지 제안에 대해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