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도시마케팅 차원에서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지자체의 새로운 경영전략의 수단으로 그 위치를 확고히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지자체마다 획일화된 도시 상징디자인의 도입으로 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지자체의 상징디자인은 지역의 역사적 장소성, 사회문화적 성향의 조건 등과 상호작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상징디자인의 현황을 조사하고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시각적, 언어적 매개체 사이에 의미작용의 기능과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의미작용 이론과 기호 유형을 분류 파악하여 지역성측면, 역사성측면, 문화고유성측면의 틀을 설정하여 도시 상징디자인이 각 지역의 아이덴티티의 중심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고 그 유형을 분석하여 향후 공동체적 삶의 문화와 역사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인식할 수 있는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도시 상징디자인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identity design, which each metropolitan council is competitively scrambling to introduce, at a level of city marketing, is firmly positioning itself as a means of a new management strategy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Nevertheless, the identity design fails to do its role properly due to the introduction of standardized urban symbol design by every single local autonomous entity. The symbol design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needs to be interactive with the historical placeness of a community, and conditions for socio-cultural disposition.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whether urban symbol design is really playing a central role in the identity of each community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situation of urban symbol design, analyzing the function and factor of signification between visual mediator and linguistic mediator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semiology, and setting up a frame of the aspects of regionality, historicity and culture uniqueness by classifying & understanding the theory of signification and symbol patterns, and also to propos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an originative and creative urban symbol design which can reflect the identity of the further communal life culture and history, and can be recognized by the public by analyzing the pattern of each urban symbol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