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일반적인 체육교양 수업을 탈피하여 개인의 체력을 기준으로 하여 운동처방을 실시하는 체력관리 수업의 실용성을 파악함으로서 선진화된 교양체육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P대학교 교양체육 강좌인 체력관리 수강자 316명과 S대학교 외 3개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집단(축구, 농구, 배드민턴, 탁구, 스쿼시, 댄스)에 참여한 382명으로 총 698명을 대상으로 체력, 신체조성 및 정신건강에 관련된 설문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신체조성의 변화는 체중과 % Fat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BMI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정신건강 중 주관적 삶의 질 척도는 삶에 대한 느낌에서 체력관리 수업집단이 교양체육 실기수업집단에 비하여 삶에 대한 느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우울평가는 체력관리 수업집단이 교양체육 실기수업집단에 비하여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자살생각척도는 자살욕구, 자살태도, 자살준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veloped cultural physical education method by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fitness class with exercise prescription based on individual physical strength, being different from existing physical education class.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survey composed of physical strength, body composition, and mental health was conducted on a total of 695 students consisting of 316 P university students who registered for fitness class, a part of cultural physical education and 382 students from S and 3 more universities attending cultural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class(soccer, basketball, badminton, table tennis, squash, and dance). Resul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and % fat of body composi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from both groups. Fitness class group showed higher result than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lass group in all of grip strength left․right, push-up, sit-up, flexibility test, 1200m race, Chest press 1RM, Leg press 1RM of physical strength. IN mental health with life quality index, Fitness class group showed higher sense toward life than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lass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index was found between groups. Fitness class group showed positive result in comparison with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lass group in self-depression rat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suicidal desire, suicidal attitude, suicide preparation from suicide ideation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