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3년 10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 서울, 충청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정도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에 직업에 대한 인식도는 사전지식정도에서 잘 아는 군이 보건계열 45.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연계열 37.9%, 인문계열 18.9%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00). 교육과정 구분정도에서는 잘 아는 군이여자 62.4%로 남자 51.9%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23). 2. 치과위생사의 업무에 대한 인식은 의료서비스에서 치과의사 업무보조가 2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구강방사선 사진 촬영 및 스케일링이 23.6% 순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역할에서도 치과의사 업무보조가 3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방사선사진 촬영 및 스케일링 25.3%, 치과의사와 환자간의매개체 역할 20.6%, 구강예방 업무 18.0% 순으로 나타났다. 3.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 정도는 친절도, 전문성 및 숙련도, 성실성 및 책임감 부분에서 인문계열과 21세 미만인 대상자들이 다른 군에 비해 긍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은 치과위생사에 대한 고유 업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구강보건인력인 전문직업인으로써의 치과위생사 인식과이미지가 계열별,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과위생사는 독립된 영역으로의 안정과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치과위생사의 업무분야 및 활용방안 등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와 함께 뚜렷한 업무범위에 대한 정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치과위생사 스스로도 자긍심을갖고 전문직업인으로서의 태도로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images about dental hygienists to establish a positive image and to define dental hygienists work ran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below.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of job about dental hygienists: students majoring in public health (45.2%)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rior knowledge, followed by natural science majors (37.9%) and humanities majors (18.9%) (p=0.000). Female students (62.4%) had better knowledge of curricular division than male ones (51.9%) (p=0.023). Second, assistance for dentists (25.8%) was most highly perceived, followed by oral radiography and scaling (23.6%), in terms of medical service of dental hygienists. Assistance for dentists (36.2%) was also most highly perceived, followed by X-ray taking and scaling (25.3%), mediation between the dentist and the patient (20.6%), and oral disease prevention (18.0%), in terms of dental hygienists' roles.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aged less than 21 had more positive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an other groups in terms of kindness, expertise and proficiency, and devotion and responsibility (p<0.01). To put the results together, college students had poor awareness of the work specific to dental hygienists and their awareness and images of dental hygienists as professional oral hygiene manpower varied by major and age. To make dental hygiene stable as an independent area and improve the social status of dental hygieni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ntinuous research on their work areas and utilization plans and to define their work range clearly and they also need to establish a positive image by performing their job in a professional attitude with pr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