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부 성인의 구취에 대한 자각정도와 대상자별 구취를 Oral chroma로 측정 후 성분을 분석하여 구취 원인에 대한 진단기준과 구취예방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대전, 전북에 소재한 2개의 대학교 구강보건센터에 내원한 성인 15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구취정도가 심한 시기는 ‘기상 후’ 에서 여자가 54.0%로 남자 35.3% 보다 높게 나타났고, 30세 미만에서도 ‘기상 후’가 59.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세이상 40세미만 17.3%, 40세이상 50세미만 7.3%, 50세 이상은 5.3% 순으로 나타났다(p<0.01). 구취를 느끼는 부위에서 ‘혀 부위’가 여자는 36.0%, 남자 17.3%로 나타났고, 30세 미만에서도 ‘혀 부위‘가 38.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세이상 40세미만 11.4%, 40세이상 50세미만 2.7%, 50세 이상 0.7% 순으로 나타났다((p<0.05). Oral chroma 구취측정치에서 황화수소는 40.85ppb, 메틸머캅탄 16.12ppb, 디메틸썰파이드 22.74ppb로 나타났고, 황화수소는 치아우식증, 치주병, 위장병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메틸썰파이드도 위장병(p=0.041)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성인들의 구취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도를 파악 할 수 있었고, 자각 구취정도와 객관적인 검사의 수치를 통해 개인별 복합적인 구취를 다각적으로 판단하여 관리에 응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정확한 의식을 갖도록 교육하고, 구강환경의 계속관리일환으로 구취를 다루어주는 것이 필요하겠다. 향후 다양한 구취관련요인과 관련 변수들을 고려한 포괄적인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Self-perceived halitosis and measure halitosis using Oral Chroma among adults, analyze its components, set criteria for identifying the causes of halitosis, and provide basic data in the area of halitosis preven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150 adults who visited oral health centers at two colleges in Daejeon and North Jeolla Province, respectively. It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Females (54.0%) were more likely to feel serious halitosis after getting up than males (35.3%); the respondents aged less than thirty (59.3%) were most likely to feel halitosis after getting up, followed by those aged from thirty to less than forty (17.3%), those aged from forty to less than fifty (7.3%), and those aged fifty or older (5.3%) (p<0.01). Females (36.0%) were more likely to feel halitosis around their tongue than males (17.3%); the respondents aged less than thirty (38.7%) were most likely to feel halitosis around their tongue, followed by those aged from thirty to less than forty (11.4%), those aged from forty to less than fifty (2.7%), and those aged fifty or older (0.7%) (p<0.05). The Oral Chroma halitosis measurements indicated 40.85 ppb hydrogen sulfide, 16.12 ppb methyl mercaptan, and 22.74 ppb dimethyl sulfide. The measurements showed that hydrogen sulfide was correlated with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s, and gastroenteric disorders and that dimethyl sulfide was correlated with gastroenteric disorders (p=0.041). These results have shown subjective awareness of halitosis among adults. It is essential to make multilateral assessment of diverse types of halitosis among individuals on the basis of the level of Self-perceived hali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