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디어의 자살보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습효과를 배경으로 살펴보고자 헸다. 또한 우울성향과 충동성,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은 물론, 이 요인들이 자살보도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의 중․고등학생 6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LISREL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자살보도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충동성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자살보도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미디어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바, 모방자살로 이어지지 않도록 자살보도에 신중을 가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미디어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자살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media suicide reports on the suicidal intention of youth based on Social Learning Theory. Also had depression and impulsivity, and self-efficacy influences on suicide, as well as examine the effect between suicide reports and suicidal intention.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676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lso we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LISREL.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media suicide reports had a effect on youth's suicidal intention. And we clarified that depression, impulsivity and self-efficac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reports and suicidal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at media suicide reports affect suicidal intention of youth, we suggest the need of careful attitude of media suicidal reports not to bring about copycat suicides. Finally we offer suicide prevention campaign based on media le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