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사회환경 및 건강상태와 삶의 질에 따른 걷기능력 분석을 파악하기 위한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2013년 2/4분기)에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은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전국적으로 조사된 9,691건에서 3,840가구, 성인(만19세 이상)과 청소년(만12~18세) 실시하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목표모집단은 건강관련 삶의 질의 요인으로 사회환경적특성, 건강상태, 삶의 질, 걷기능력의 차이를 분석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환경적특성에 따른 걷기능력은 높은 차이를 나타났다. 성별은 남자가 여자보다 걷기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상태에 따른 걷기능력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아질수록, 활동제한여부는 활동제한이 없는 경우, 관절염․류머티즘은 활동제한인 경우, 등, 목의 문제는 문제가 있는 경우, 시력문제는 없는 경우, 기타는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걷기에 지장있음에서 걷기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삶의 질에 따른 걷기능력은 자기관리에서 걷기에 지장이 없을수록, 일상활동은 지장이 없을수록, 통증․불편은 없을수록, 불안․우울은 없을수록 걷기에 지장없음에서 걷기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exercise condition on HRQoL and walking ability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healthy nutrition investigation (2013 February․quarter) wa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material. Surveyed in the January to December 2013 in a national survey of 3,840 households in 9691 , an adult (19 years or older) and youth (up to 12 to 18 years old) was conducted, healthy nutrition investigation of the health of the target population, HRQoL factors of soc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exercise condition, HRQoL, walking ability wa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ces in the walking ability is high. Second,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of the distribution of walking ability is no hindrance respectively. Third, HRQoL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walking ability is no hindrance high. The more a kinetic ability deteriorates, the more the quality of life gets worse. Therefore, the recovery of a kinetic abilit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