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제작된 문화콘텐츠(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현재 한국 학교폭력의 현황 조사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 교육연극(뮤지컬)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세 번째 단계에서 이 연극의 참여를 통해 전라남도의 H중학교 60명 학생들을 표본 집단으로‘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기법을 이용, 효과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을 조사한 결과 학교폭력에 대해 33.8%가 여러 유형의 피해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연구에서 개발된 뮤지컬‘나는 셔틀이다’프로그램의 참여가 미치는 효과는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수준이 Paired t-test를 통해 유의미하게 변화함을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문화콘텐츠의 접근방식인 교육연극이 학교폭력 예방에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This paper describes perception alteration of teenagers for school violence after participating culture contents program, i.e. a educational purposed play(musical). At the first stage, current school violence and advanced research were investigated and analysed. At the second stage, a educational purposed play program (musical) was produced. At the third stage this play and education program was performed onto sixty middle school students. Performanc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method of ‘one-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33.8% students of the sample revealed they experienced school violence in their school life. To test effectiveness of perceptional changes in the case of participating the musical(‘I am a shuttle’),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using paired t-test, changes in perception were dee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onclusion, the culture contents, educational purposed paly(musical) could be one of the effective solutions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This results will give a guideline in developing and planning culture contents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