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영어의 모음 비음화 현상에 대한 공기 역학적 연구김 수 정본 논문은 영어의 모음 비음화 현상을 공기역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모음 비음화 현상을 음운규칙이 아니라 음성규칙으로 정의한 Cohn(1990)의 주장에 상반되는 자료를 제시하고 Huffman(1989, 1993)의 표지이론에 기초하여 선행/후행 모음 비음화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표적(target)과 삽입법(interpolation)은 음운 단계에서 미명세된 자질들이 음성 실현 단계에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하는 주된 개념이다. 즉, 음운 단계에서 미명세된 자질은 음성 실현 단계에서 표적이 없으므로 명세된 인접한 자질들 사이에서 그 값이 결정된다. Cohn(1990)은 영어의 모음 비음화 현상이 음운 규칙이 아니라, 모음은 음운 단계에서 비음 자질이 명시되지 않으며 음성 실현 단계에서 인접하는 음의 자질에 의해 정해지는 음성규칙임을 비강과 구강에서의 공기 자취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비구강 공기 자취에서 나타나는 급격한 상승은 [ nasal]인 모음이 인접하는 [+nasal] 자질을 가진 비음에 의해 자질이 주어지는 증거라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기역학적 자료는 Cohn의 주장대로 모음 비음화 현상이 전적으로 음성규칙으로 정의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비강 공기 자취에서 비음은 모음에 선행하거나 후행하는 경우 각각 다른 행동을 보여준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anticipatory and carryover vowel nasalization, aerodynamic data, landmark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