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병리적 나르시시즘의 관점에서 『모드』의 화자에 나타나는 심리를 고찰한다. 정신분석에서 나르시시즘은 정상적 심리 발달에서 나타나는 한 단계로 건강한 나르시시즘은 건강한 심리구조의 형성에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개인의 내면에 건강한 심리구조의 형성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자기애적 고착상태, 즉 거대화된 자기와 이상적 부모 원상에 병적인 고착 상태를 보이는데 이를 병리적 나르시시즘이라 부른다. 병리적 나르시시즘의 두드러진 증세로 극단적 자기중심성, 부풀려진 자아상을 들 수 있는데 그러한 성향은 자아붕괴의 염려에 대한 일종의 방어기제들이며 그러한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부풀려진 자아상의 기저에는 공허, 우울, 죽음에 대한 희구가 도사린다. 『모드』는 그 부제 “일인극”이 암시하듯이 화자가 일방적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시적 서사이다. 화자의 비극은 아버지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되는데 그의 아버지에 대한 화자의 기억은 “핏빛 히쓰,” “끔찍한 공동,” “산산 조각 난 팔다리”라는 표현이 드러내듯이 그에게 극심한 트라우마가 된다. 그에게 있어서 아버지는 이상적 자아-대상이라 볼 수 있고 그러한 존재로서의 아버지의 죽음은 그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내면에 건강한 심리구조가 형성되기 전에 일어난 부친의 갑작스런 죽음은 건강한 자아를 형성시키는 기회를 몰수하고 그를 이상화 자아-대상에 대한 고착을 통해 나르시시즘에 침잠하게 한다. 그는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소외시키고, 그러면서도 자기와 아버지를 이상화하며, 그 반대급부로 사회와 그 사회에 몸담고 있는 인간들의 악을 부풀려 바라보고, 자기의 나르시시즘에 위협이 되는 존재들에 대해서는 질투와 노여움을 품는다. 그러나 그러한 감정의 다른 한편에는 자신에 대한 열등의식, 자신에 대한 비하의 감정들이 함께 한다. 이러한 성향들은 병리적 나르시시즘의 그것들과 부합되는 것으로 보인다. 즉, 그것은 이상화 자기-대상의 죽음으로 인한 트라우마, 그 영향으로 인해 그 자신 속으로의 후퇴, 붕괴된 자아나 우울, 공허감에 대한 방어기제로서의 부풀려진 이상화 자기-대상의 형성, 그리고 죽음에의 희구 같은 증세들이다. 화자는 모드와의 사랑에 빠졌고 그를 구원해줄 이상적 여인으로 그녀를 그리고 있지만 그녀는 화자의 아버지를 대신하는 또 다른 이상화된 자아-대상으로 보인다. 모드가 죽은 후 그가 겪는 절망, 광기, 그리고 죽음의 희구는 그의 아버지가 죽은 후 그가 겪은 것과 동일한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모드의 유령을 본 후 그가 정신병에서 회복되고 크림전쟁에 기꺼이 동참하려는 것은 문제에 대한 해결이나 시의 낙관적 결말이기보다는 그의 아버지나 모드와 같이 화자가 자신의 나르시시즘을 위해 투사하는 또 다른 이상화라 볼 수 있다.


This essay examines the speaker’s psychology of Maud from the perspective of pathological narcissism. As the initial title of the poem as Maud or The Madness suggests quite a few researchers analyzing Maud have focused on the mental disease of the speaker. This mainly occurred by examining the speaker’s abnormalities and self-absorbing propensities or by considering thematic implications of madness, i.e., socially or politically extended meanings implied by a personal madness. This essay, however, offers a possible interpretation of the speaker’s ment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pathological narcissism. Pathological narcissism is a type of mental disorder displayed by a person who is pathologically attached to the grandiose self and their idealized parent imago without its integration into the rest of their personality as an integrated healthy self. Its prominent symptoms are extreme self-centeredness, and a grandiosely expanded image of the self, all of which are actually defensive mechanisms against the anxiety of self-disintegration. For a person such as this, underneath his or her sense of grandiosity lie a sense of emptiness, melancholy, and the pursuit of death. Maud with its subtitle “a monodrama” is a poetic narrative where the speaker unfolds his own story unilaterally. The speaker’s reverie of his father’s death haunted by “the bloody heath,” “the dreadful hollow” or “shattered limbs” reveals the extent of the trauma the speaker suffered because of his father’s death. The aftermath of the death of his father as an ideal self-object entails his withdrawal from the world, his own idealized image of his father and himself, the swollen notion of human and social evils, the jealousy, and intense anger against anti-narcissistic figures, but at the same time, a sense of inferiority and nothingness of his self underneath the feelings. These kinds of propensities accord to the symptoms of pathological narcissism; that is, the death of the ideal self-object, the withdrawal within himself and the forming of the swollen image of the idealized object as defensive mechanisms against the disintegrated self, depression and emptiness, and the pursuit of death beneath them, etc. Maud, whom the speaker falls in love with, and expects to be a salvation for him, is likely to be another idealized self-object replacing his father. The despair, madness, and the pursuit of death after the death of Maud shows the same pattern of the symptoms he suffered caused by his father’s death. His recovery after he saw Maud’s ghost and his willing participation in the Crimean war seems to be another replacement that plays a role equivalent to his father or Maud, rather than a substantial solution to his life-long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