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우렁이 색시> 기본서사의 구조를 분석하여 각 단락의 의미를 추적하였다. 그런 다음에 <우렁이 색시> 각편들을 유형화해서 거기에 나타난 구술자들의 자아의식을 살폈다. 왜냐하면 다양한 각편은 구술자들의 자아의식에 의해서 구술되기 때문이다.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가 제한적이라는 비판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논의는 반성적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주장이 합리적일지는 문학치료학 연구자들의 비판을 기다려야겠지만, 본고의 의도는 문학치료학의 이론들이 일반 연구자들에게 좀 더 보편적이고, 객관적으로 인식되게 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본고는 구비설화에서는 서술 자아와 구술자가 다른 기록문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일시된다는 것을 전제로 설화를 분석했다. 그리고 서사란 서사문법에 따라서 전개되는 것이지만, 구술자의 자아의식도 여기에 간여한다고 보았다. 이런 관점을 기초로 하여 이야기 속에 반영된 구술자의 자아의식을 분석하면 문학치료 피검자 즉 구술자의 심리 상태를 어느 정도 진단할 수 있다고 했다. 문학치료학에서는 피검자의 심리 수준을 가족 내의 인간관계에 근거하여 자기서사에 나타난 것을 가지고 진단했다. 그렇지만 본고에서는 서사(narrative)를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서사(epic)가 아니라, 자아가 세계와 대립 갈등하면서 결말에 이르는 과정을 이야기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대립의 양상이 단순히 가족 내의 인간관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뿐만 아니라 이야기 역시 서사문법에 따라서만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구술자의 자아의식이 간여한다고 했다. 따라서 서사의 전개 과정에는 구술자의 자아의식이 중요하고, 이것은 각편들에 잘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문학치료학에서는 피검자의 심리 상태를 진단하는 도구를 만들 때 이러한 각편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each paragraphs and the general narrative structure of "a Pond Snail Bride". I classified as the type the versions and then examined the story-tellers' self-consciousness. I expected to have the opportunity of self-reflection for literary therapeutics through thus discussion. Whether this opinion is rational or not, I have to wait the comments of literary therapeutics' members. But the intention of this paper is that literary therapeutics' theory could be got more universal validity from the general scholars. The main idea of this paper is that self-consciousness of the story-tellers also to be taken a part to make a story, though a narrative to be told according to narrative-grammar.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asserted to be able to diagnose psychological state of the literary cure testee(story-teller) through the self-consciousness of story-tellers. In the literary therapeutics, it diagnosed psychological state of a testee as only relationship within a family. But in this paper it was mentioned that the confrontation of ego and world did not only understand within a family, could be made with more conditions. Especially the narrative was told by the psychological state of story-tellers to be reflected to the story. In this point of view, literary therapeutics might be showed concerns to the self-consciousness to be reflected in the versions of leg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