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원한 갚으려 태어난 자식 이야기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지를 밝히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의 초점을 변신, 이인(異人)과 같은 화소 차원에서 부모자식 관계, 그 중에서도 원수관계로 옮길 것을 제안했다. 변신이나 이인 화소는 곧바로 우리 삶과 연결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변신 혹은 이인 화소가 인간관계 속에서 생겨난 어떤 문제 및 해결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아는 것이 우리에게는 요긴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관계에 의해 규정되는 존재이며 인간을 다루는 문학은 인간관계의 형성과 위기와 회복을 서술한 것이라는 문학치료학적 전제를 유념에 둔다면 원한 갚으려 태어난 자식 이야기는 원수가 태어난 것이라고 느껴질 만큼 감당하기 어려운, 자녀를 대하고 있는 부모들의 입장이 담긴 이야기라고 보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자녀들에 대하여 일찍부터 부모들은 어떠한 인식과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살피기 위하여 『한국구전설화』와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채록된 원수 자식 이야기들을 모두 한 자리에 모아두고 서로 비교 고찰하였다. 원수 자식을 바라보는 부모의 인식과 대책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자료들을 분류했다. 그래서 부모가 자식의 정체를 무엇으로 보고 있는가? 하는 것과 부모가 자식을 대하는 태도를 기준으로 삼아서 다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는 자식이라 확신하며 사랑하기, 둘째는 원수라고 의심하고 밀치기, 셋째는 원수라고 확신하며 밀치기, 넷째는 자식임을 의심하지만 사랑하기였다. 그런 뒤 이 네 가지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면밀히 고찰하였다. 다음으로는 원수 자식을 인식하고 대하는 네 가지 태도가 갖는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첫 번째 경우, 자식이라 확신하며 사랑하는 것은 일방적인 헌신도 자식에게는 도리어 부모를 원망하는 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부모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원수 같은 자식이 태어나게 되는 배경에는 반드시 부모와의 원한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는 부모라 하겠다. 두 번째 경우, 원수라고 의심하며 밀치는 것은 자식의 보답을 전제로 한 부모들의 사랑이 배반당할 것 같은 조짐을 만나게 되자 애정에서 증오로 급속하게 자리바꿈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우연한 기회에 자녀들의 속마음을 확인하게 되거나 자신들의 기대가 충족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불안감에 사로잡혀 가차 없이 자녀들에게 분노를 드러내는 부모라 하겠다. 세 번째 경우, 원수라고 확신하며 밀치는 것은 처음부터 자녀들을 경쟁이나 감시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부모들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대부분 권력과 지위를 가진 존재들로서 자녀가 자신에게 도전할까봐 혹은 자신이 쌓아올린 명성에 흠을 낼까봐 노심초사하면서 자녀들을 경계하면서 일찌감치 그 싹을 제거하려는 부모라 하겠다. 네 번째 경우, 자식임을 의심하지만 사랑하는 것은 은공만 베푼 부모에 대해서도 자녀는 부모를 원망할 수 있는 존재라고 이해하는 부모들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선의로 한 일들임에도 자식은 원망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배제시키지 않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기에 이들은 자녀와의 사이에서도 끊임없이 조정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보며, 효자란 부모에 대한 원망이 다 풀린 지점에서야 도달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부모라 하겠다.


A purpose of this paper is undercovering the meaning of ‘story of child borned to get grudge’.A focusing is especially that the meaming can give any help to us today. For the research, interest is changed to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enemy relationship from motive relation. Firstly, ‘stories of enemy borned child’ are compared. Secondly, works are classified in point of child’s identification and parent’s attitu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confidence and love the child. Second, to suspect and push the child. Third, confidence and thrust the child. Fourth, to love the child even if suspect Fanally, the meaning of said 4-typed parent’s attitude is showned. First, Unilateral commitment can be a source of resentment. Second, love promised child’s reward can be changed to a hate from a affection. Third, child is treated as a competitor. Fourth, child can resent parent, so a continuous adjustment is required to parent-child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