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학 작품은 작가의 경험을 추체험하게 하는 매체이기도 하지만, 독자의 경험을 추체험하게 하는 매체이다. 이런 면에서도 보면, 독자는 문학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생산하는 주체이다. 특히 문학 교육은 이 능동적 독자를 길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런 교수법의 하나가 문학적 글쓰기이다. ‘문학적 글쓰기’는 창작과는 완전히 다른 성격의 것이다. 문학적 글쓰기는 자아성찰을 위한 도구로서의 글쓰기를 의미한다. 글쓰기를 통한 자아성찰은 한 인간의 성장 동력이 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자아실현의 발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실제로 작품만을 감상할 때보다, 작품을 매개로 자신의 경험을 적용한 글쓰기를 병행하면 자아성찰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생각에서 출발하고 있는 이 연구는 대학의 교양문학 강의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자아성찰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법에 대한 고찰이다. 본문은 이론과 사례로 나누어 살펴보려고 한다. 이론 부분에서는 문학에서 독자의 위상과 생산적 의미, 글쓰기가 지닌 교육적 가치를 정리할 것이다. 사례 부분에서는 공감, 카타르시스, 그리고 통찰을 통하여 자아성찰에 미치는 정서-인지적 기능의 치료적 효능을 검증할 것이다. 글쓰기 사례는 연구자가 진행한 교양 문학 강의를 대상으로 삼았다. 사례 부분은 다시 세 가지로 나누어 기술할 것이다. 첫째, 글쓰기 이전과 이후에 일어나는 공감, 카타르시스, 통찰의 변화를 다룬다. 둘째, 공감, 카타르시스, 그리고 통찰이 자아성찰을 작동시키는 방식을 다룬다. 셋째, 정서와 인지의 상호 촉진이 자아성찰을 가속화시키는 현상을 다룬다.


The purpose of literature as a subject for general education is to instruct students as active readers. Literary writing i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for it. In the present study, its characteristic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creation. Literary writing is based on readers' experience. The introspection through writing is important since it is the engine for growth and the stepping stone for self-realization. Actually it can make them maximize self-realization more when it is combined with writing, and applied to others' experience, than only when literature is appreciated. This study is a consideration for a teaching method to promote students' introspection, through a general education course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is, dividing it into a theory and examples. First, as part of a theory this study aims to organize status and productive meaning of readers in literature, and educational values that writing has. As part of examples, an function of therapy in emotional-cognition , which influences students' introspection, will be shown. The lectures, the researcher gave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are selected for the examples. The examples ar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and described. First, sympathy, catharsis and a change of insight that occur before or after writing will be investigated. Second, how sympathy, catharsis, and insight activate one's introspection will be observed. Third, that the mutual promotion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accelerates one's introspection will be describ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