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발달적 관점에서 90년대 한국 단편 소설에 등장한 자녀서사와 부모서사를 분석하여 가족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990년대 단편소설에 등장한 자녀서사는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인 자아정체감 형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고, 부모-자녀관계가 일대다(一對多)의 관계라는 특성을 가지므로 자녀서사에서 비대칭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장남은 자녀의 입장에서 있지만 부모와 세대 간 동맹을 맺고, 내용상 부모서사를 보이는 이중적인 자녀서사를 보였다. 부모에 대한 자녀들 간의 심리적 거리 차이는 형제들 모두 다른 종류의 열등감이나 애증을 경험할 위험이 있음을 시사한다. 중년기의 발달과업인 생산성 발달은 부모서사와 일맥상통하며, 부모됨에 관한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90년대 후반 한국 소설에서는 ‘불임’이 자주 소재로 등장하여 부모서사의 종말을 예기하고 있는데, 이는 미래세대에 대한 생산성 발달이 위협을 받고 있음에 대한 위기의식을 환기시켰다.


Guided by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understand the meanings of family by analyzing Korean short novels inthe 1990's with a focus on the epic of children and the parental epic. The meanings of family vary across developmental stages ofprotagonists, which are in accordance with subjects of narrative. Specifically, the primary issue that the adolescent face within the familyrelations is to develop self identity; Parent-children relations can beasymmetrical because a parent have multiple children and thepsychological or emotional distance is different in terms of the traits ofchildren, such as birth order, gender, and etc. In particular, thefirst-son(Jangnam) shows a equivocal epic of children. Generativity isthe developmental task of middle-aged parents, and the contemplation ofbeing a parent is found significant in Korean short novels. At the sametime, the fear of infertility has been widely raised in the 1990’s shortnovel, and this can be understood the risk of social generativity in the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