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4세에서 18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안교육기관의 글쓰기 수업에서 현아와 은수라는 두 명의 학습자가 소설 감상문을 쓰는 과정을 통해 그들의 자기서사가 발견되고 변화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형제갈등을 표현한 소설 <이은결, 너 조심해!>를 대상 자료로 선택한 현아와 은수는 모두 형제갈등과 관련된 자기서사를 가지고 있었다. 감상문 초고를 쓰고, 수업에서 토론을 통해 고쳐쓰기하는 과정에서 현아는 부모의 편애라는 주제로, 은수는 손위 형제의 악행이라는 주제로 자기서사를 명료화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현아는 부모의 편애에 대해 솔직하게 질문을 던지는 감상문을, 은수는 손위 형제의 선한 면을 인정하는 감상문을 씀으로써 자기서사를 명료화하거나 변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현아와 은수가 보여주는 형제갈등은 차이를 보이는데, 부모의 사랑을 중심으로 한 현아의 형제갈등은 질투로, 손위 형제의 선을 부정하고 싶은 은수의 욕망은 시기심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글쓰기교육의 과정이 그 이면에 문학치료의 과정을 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아와 은수가 보여주는 시기심과 질투라는 형제갈등의 서로 다른 양상을 통해 성격이 다른 두 가지 형제서사의 가능성에 대해 질문할 수 있었다.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d how self-perception was discoveredand transformed in the novel report writing process. Two learners wereexamined ― Hyeon-A and Eun-Su ― who attended a writing class inan alternativ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14-18-year-old-students. At the time of selecting for their novel report a book dealing withsibling conflict <Lee Eun Gyeol, WatchOut!>, both Hyeon-A andEun-Su related their self-perception to sibling conflict. They were ableto define their self-perception in the process of writing a draft bookreport and revising it through discussion : Hyeon-A focused on parentalfavoritism as a theme, and Eun-Su, on a so-called evil deedperpetrated by the sibling. In the last stage of writing, they furtherclarified or even changed their self-perception : in the reports,Hyeon-A asked an honest question about parental favoritism andEun-Su recognized a good deed performed by the elder sibling.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ibling conflicts revealed byHyeon-A and Eun-Su; the sibling conflict in Hyeon-A's report thatfocused on parental love can be interpreted as jealousy, while Eun-Su'sdesire to negate the sibling's good deed can be interpreted as envy.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writing education also functioned asliteratherapy. Additionally, through the different aspects of sibling conflict—jealousy and envy—we were able to examine tendencies for twodifferent sibling perception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