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서사 문학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식민지 시기 최재서의 문학적 사유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에게 소설은 리얼리즘과 모랄을 축으로 구성된 형식이었다. 하지만 현대의 특징은 모랄 부재에 있었기 때문에, 현대 소설 역시 소설의 근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형식으로 판정되었다. 이러한 모랄의 결여는 소설 작품에서 성격의 결핍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성격이 리얼리즘과 모랄의 결합을 통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성격의 결핍은 현대 소설의 근본적 무기력을 나타내는 표시가 된다. 현대 소설의 근본적 무기력 앞에서 최재서는 고대 서사시로 돌아갈 것을 요구한다. 서사시는 서사 문학의 원형으로서 이념에 의해 통일된 세계를 보여주는 형식이기 때문에, 현대 소설에서 불가능한 성격을 형상화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서사시 이해를 통해 최재서는 국민문학을 주장할 수 있었다. 국민문학은 일본적 세계관에 의해 통일된 서사시적 세계를 실현하고자 하는 문학 운동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서사시-국민문학은 일종의 이상적인 세계상을 제시함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의식 너머로 추방해 버린다는 점에서, 그리고 역사의 완성을 주장함으로써 미래의 변화가능성을 애초에 봉쇄해 버린다는 점에서 매우 문제적인 것이었다. 여기에서는 현재의 영원한 반복만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ntends to look into literary thoughts of Choi, Jae Seo in the colonial era focused on arguments on narrative literature. For Choi, Jae Seo, novel is a form composed of two poles, realism and moral. However, as the present is prescribed as absence of moral, contemporary novel is judged as a form unsatisfying fundamental requirements of novel. Such an absence of moral is expressed as a lack of characters in novels. And from the aspect that character can exist with combination of realism and moral, the lack of characters becomes an indication that displays fundamental enervation of contemporary novels. Facing the fundamental enervation, Choi, Jae Seo requested to return to the ancient epic. Since epic as the archetype of narrative literature is a form showing a unified world by idea, it was considered to configure characters impossible in contemporary novel. Through the understanding on epic, Choi, Jae Seo could insist national literature. It was because national literature was a literary movement to realize the epic world unified through Japanese view of the world. These epic and national literature were very problematic in that they relegated the reality of the colonized Chosun by suggesting a kind of ideal picture of the world, and blocked a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future at the outset by asserting a completion of a history. It’s because here, only infinitive repetition of the present ex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