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1900~30년대 국어(조선어) 독본(讀本)에 수록된 서간 텍스트의 존재양상을 정리하고 그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의미를 고찰한다. 이는 ‘근대적 글쓰기로서의 서간 양식의 복원’이라는 문제의식 하에 기획 연구 중인 ‘인쇄된 서간[publishing letter]’ 연구의 하나인 ‘서간과 독본[讀本, 교재]’론이다. 먼저 공교육용 독본에 수록된 서간문 작성법과 우편제도 설명문을 분석한 결과, 편지가 근대적 글쓰기를 통한 문식력(文識力, literacy) 교육에서 큰 비중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편제도에 대한 설명이 근대적 합리성을 보인 데 반해 중세시대 편지와 비슷한 엄격한 격식, 한문식 상투어구, 문어체로 된 과도한 국한문혼용체 문장을 고답적으로 교육하는 것은 문제점으로 생각된다. 이는 민간 독본의 편지글이 언문일치를 향한 구어체 한글 문장으로 표기됨으로써 근대적 지향을 보인 것과 대비된다. 한편, 실제 편지글의 용례도 일상생활의 여러 경우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가 독본마다 수록되었음도 확인된다. 독본의 편지 수업을 통해 문맹 타파와 근대적 리터러시 체득과 의사소통을 위한 친근한 접근수단으로서의 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을 터이다. 그러나 어떤 편지글은 식민지 정책 관철을 위한 지배담론의 형성이라는 정치적 기능을 하기도 하였다. 이는 서간이 실린 독본의 편찬자인 조선총독부의 의도에 따라 식민지적 근대에 상응하는 지배이념의 전파라는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 결과이다.


This thesis arranges the aspect of existence for the letter texts included in Korean readers in 1900s-1930s, and inquire into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social meaning. This is one of the series to study publishing letter for the purpose of 'restoration of letter pattern as modern writing.'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thod of writing letters included in read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tter had importance in literacy education through modern writing. However, even though the explanation about the postal system showed modern rationality, it is problematic to educate strict formality, Chinese letter style cliche and excessive Korean-Chinese combined sentences in literary style similar to letters in the Middle Ages. This is compared to the letters of private reader which used colloquial expression to aim modern style. In the meantime, it is confirmed that various contents of examples of actual letters are included in the readers to utilize them in various situations in daily life. The letter of reader education could earn educational effect as a method of friendly approach to eradicate illiteracy, earn modern literacy and communication. However, some letters showed political function to formalize discussion about control to achieve the Colonialism. This is the resul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tended to distribute ideology of ruling corresponding to the colo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