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성서는 기호들로 엮어진 하나님의 말씀 담론이라 볼 수 있다. 이런담론은 초기 기독교부터 교회와 신학 공동체에게 중요한 신앙적, 신학적 주제가 되어왔다. 오늘날 문화신학 민중신학 복지신학 디아코니아신학, 공공신학 등 많은 영역에서도 이런 담론은 도입되고 있다. 최근권진관은 담론에 의해 창조되는 민중을 소개한 바 있다. 주체가 담론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담론이 주체를 생성한다는 뒤집는 발상은 기존 체계를 새롭게 보는 근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주체와 담론 그리고실재와 담론 이 둘 간의 관계는 적어도 세 가지 가능성이 성립된다. 첫째는 전자가 후자를 포함하는 관계이고, 둘째는 후자가 전자를 포함하는 관계이고 셋째는 상호적 관계이다. 첫 번째의 관계는 고전적인 방법론이라 볼 수 있고 두 번째의 관계는 현대적인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세 번째의 관계는 우리에게 균형 잡힌 안목으로 안내할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런 관점을 도입하여 기독론을 전개할 것이다. 전통적인기독론은 인성을 도외시하고 신성만을 강조하는 측면이 있으며 현대의기독론은 신성을 도외시하고 인성만 강조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신성과 인성을 강조하는 신학은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은 것일까? 우리는 반문하게 된다. 역사적인 진보에도불구하고 기독론은 하나의 이론에 함몰된 채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역사적인 진행 과정 가운데 균형을 이루려는 시도는 진행되었다. 이 논문은 그런 시도의 반복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Cet article se développe sur lequel le signe Jésusonoma est un autre représentation de la trinité. Mon article précédent ‘Lacan, objet a, Jésusonoma’(Journal of Lacan & Contemporary Psychoanalysis,Vol. 8 No. 1 Summer 2006) est une semence du sujet présent, et mes autres article parus ‘De la relation entre verbe et mens de St. Augustin selon la sémiotique lacanienne’(Research in Philosophy and Phenomenology , Vol. 36, Winter 2008) et ‘Lecture d ’I d e n t i f i c a t i o n selon J. Lacan’(Journal of Lacan & Contemporary P s y c h o a n a l y s i s, Vol. 9 No. 2 Winter 2007) sont une graine de la méthodologie. On prend la psychanalyse sémiotique de J.Lacan comme la méthodologie. La christologie présente est à la tension dure des relations entre la christologie deductive(Logos →Sarx) et la christologie inductive(Sarx →Pneuma ou Anthropos →Theos) de sorte que le deuxième personne de la trinité est blessé. On ne peut pas non plus décrire univalentement la christologie et la trinité. Donc on cherche un autre signe pour les remplacer. Cette étude vise à chercher un mot nouvel dans la Bible qui indique le deuxième personne de la trinité et la trinité soi même. On commence cette étude selon les deux questions:1. Quel est le but de rechercher Jésusonoma, dans la situation de deux pôle entre le Jésus historique et le Christ en foi. Quelle est sa position dans la christologie?2. Le Jésusonoma ou L’onoma que les évangîles et les êpîtres se présentent, quelles sont son identité dans la trinité et sa signification théologique?La première partie ébauche la situation de la théologie contemporaine,la deuxième partie développe le Jésusonoma dans la catégorie de la christologie. C’est une écoute encore une foi de la Bible et une lecture sans prévoir de l’écritures qu’on essaie de voir le mot Jésusonoma dans cette étude. On le considère en tant que le signe de la trinité et une autre unification de la christolog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