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세기 후반 기독교 종말론 논의를 주도했던 신학자 중 한 사람인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은 종말(eschaton)을“도래하시는 하나님”의 관점에서 정의한다. 종말은 하나님께서 역사와 창조세계 가운데 도래하시는 때를 가리킨다. 그리고 하나님의 도래 곧 종말의 시제는‘단순 미래’나‘영원한 지금’으로 이해할 수 없다. 하나님의 도래는 독특한 시간구조를 가지고 있다. 몰트만은 하나님의 도래의 독특한 시간구조를“도래하는 미래(Adventliche Zukunft)” 혹은“도래(adventus)”라는 개념으로 요약하고, 이 도래하는 개념을 자신이 전개하는“오시는하나님의 종말론”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하지만 몰트만은 도래 개념이『오시는 하나님』(1995)에서뿐 아니라 이미『희망의 신학』(1964)에서도결정적으로 중요했다고 술회한다. 이것은 도래 개념이 몰트만의 성숙한종말론에서뿐 아니라 희망의 신학에서 출발한 그의 종말론적 신학 전체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임을 암시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몰트만의종말론의 출발점에 자리하고 있는 도래 개념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도래 개념에 관해 몰트만이 직접 쓴 여러 글들을 꼼꼼하게 읽어나갈 것이다. 특별히 논지의 명확성을 위해 도래하는 미래 개념과 관련하여 하나님과 시간의 관계 등 형이상학적 주제들을 집중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래하는 미래 개념을 초월의 새로운 패러다임, 시간 일반의 근원과 원천, 종말론적 새로움의 원천 등 세 가지 관점에서 상술할 것이다. 논문의 결론에서 필자는 몰트만의 도래하는 미래 개념이 기독교 소망의 세 가지 대표적인 상징(하나님의 도래, 하나님 나라의 도래, 예수 그리스도의 파루시아)을 일관성있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해 줄 뿐 아니라, 하나님 이해에 시간적인 관점을 도입함으로써 보다 역동적인 하나님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반면 몰트만 자신이 구분하고 있는종말론의 네 가지 측면, 즉 개인적- 역사적- 우주적- 신적 측면들을 유기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도래하는 미래 개념이 여전히 충분하게 발전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Jürgen Moltmann, one of the leading eschatological theologians of the 20th century, defines eschaton in terms of the coming God. Eschaton refers to the time when God comes to the history and the created world, and the time of God’s coming or eschaton can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any future time or the eternal now. Rather,God’s coming has a unique temporal structure. Moltmann refers to it as the advent-like future (Adventliche Zukunft) or advent (adventus),which he makes the starting point of his own eschatology of the coming God. In fact, Moltmann confesses that the concept of the advent-like future has been essential to his theological project from its epoch-making launching in Theology of Hope (1964) to its culmination in The Coming of God (1995). In this paper I endeavor to explore Moltmann’s concept of God’s future as adventus by engaging myself primarily with Moltmann’s own works in which he employs this concept. In the process I will investigate the concept of the advent-like future in terms of the new paradigm of transcendence, the origin and source of time in general, and the source of the eschatological novum. In the conclusion, I will celebrate that by developing the concept of the advent-like future Moltmann does not only provide us with a framework in which one can understand the three representative symbols of Christian hope-that is, the coming of God, the coming of God’s kingdom, and the parousia of Christ-in a coherent way, but also makes possible a more dynamic understanding of God by introducing the temporal consideration into our idea of God. Meanwhile, I will point out that Moltmann’s concept of the advent-like future fails to help us to understand the four different aspects of Christian eschatology-personal, historical, cosmic, and divine-in a unified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