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지과학과 철학적 마음이론이 발달하면서 기독교 영성에 대한 해석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모더니티의 마음이론은 이원론적인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기독교 전통에서 이해한 히브리-유대적인간론은 몸과 영혼을 갖고 있는 이원론적인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모더니티의 이원론적 해석과 크게 대치되는 일이 적었다. 칼빈의 신학을 중심으로 전개된 개혁신학은 몸과 영혼으로 이해하는 이원론적 성향을 보였다. 물론 몸과 혼과 영을 갖고 있는 삼분설의 인간론을 주장하는 신학적 흐름도 있었다. 본 연구의 문제제기는 인간을 구성하고 있는 몸과 마음의 이원론적 해석은 포스트모던 인간이해에 부합되지 않는 상황에서 포스트-이원론적 종교성에 대한 이해의 문제이다. 포스트모던 인간이해에서는 모더니티의 이원론적 모델이 작동을 하지 못하는 면이 있다. 이원론의 문제만이 아니라 인지에 대한 해석에서 모더니티 접근은 알고리듬적이고 선형적인 방법으로 시도하였다. 계몽주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 신학은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이성적으로 해석하고 선형적으로 정리하는 이론적 신학을 전개 하였다. 최근의 인지과학에서는 몸과 마음과 관계성이 통합적으로 인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체화된 마음이론과 마음의 창발론이 기독교신학에 적지 않게 도전을 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독교 영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학적 도구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문제제기에 대한 논지는 기독교 영성은 체화된 종교성으로서 영성은 내적 프로그램의 변화에 의해서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 관계성 속에서 새롭게 창발(emerging)되는 현상이라는 주장이다.


The recent developments of the cognitive science and the philosophy of mind demand an innovative interpreta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within contemporary theological exercises. The anthropology of modernity, which was focused on the dualism of mind and body, has influenced on theological anthropology for more than two hundred years. This modernity anthropology has no longer consistency with recent presumptions of the cognitive science and the postmodern multi-dimensional elucidation of the world. The statement of problem in this essay is to handle the inconsistency that the dualism of mind and body are not consistent with postmodern interpretation of human being.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God in the way of logocentric understanding is no longer consistent with postmodern understanding of relational and organic interpretation. To solve the inconsistency, this essay postulates the embodied-religiosity, which could be a more appropriate model of interpretation for postmodern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The idea of embodied-religiosity derived from the embodied mind in the cognitive science, which interprets human cognition as such that human being engages in cognitive activity with brain-body, mind, and relationship. This essay methodologically presupposes emergentism rather than reductionism, because the reductionism in physical science does not provide sufficient criteria of adequacy for cognitive exercise in the process of human understanding. The emergentism is also not sufficient enough to provide an adequacy for interpretation of cognitive activity as well. However, the emergentism pertains to provide somewhat proper applicability for analysis of the cognitive commotion in various ways as it was delineated in the paper. Instead of dualistic anthropology, a holistic understanding of mind, body, and spirit comprises more adequate avenue for understanding of humanity and interpretation of religiosity. The wholistic interpretation would be more consistent with Judeo-Christian explication of spirituality and human 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