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실을 공동체로 만들고자 하는 노력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실공동체 만들기를 위해 주제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의 운영, 교사들 스스로 연구능력 개발, 아동의 돌봄과 자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가정-학교-사회의 협력적인 관계형성 등을 위해 노력하였다교실공동체 건설을 위한 핵심적인 가치를 돌봄과 자치로 두었다. 그리고 돌봄과 자치의 교실공동체를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으로는 교실중심의 활동,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하여 결과중심이 아닌 과정을 존중하는 표현활동, 생명 중심의 아동이 주체적 참여를 존중하는 다양한 체험 및 표현활동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문화․기술적 연구를 시도하였는데, 그 연구의 결과 아동이나 교사 모두 교실공동체 만들기에 그 이전보다 매우 적극적이었고, 돌봄과 자치 능력이 많이 향상되었다.


Current research clearly indicates that student little by little become convenience. And Today student do not have responsibilities at home and school that let them know that their contribution is important to the survival of the community. So moral education are intentionally designed to promote caring, and high performance. We have an interest in the method which does a community construction from the elementary classroom. Because To construct community the elementary classroom is gives an effect for successful moral attitude of student. Elements of a positive community in the classroom is caring, autonomy. To autonomy, Teacher needs to establish classroom wide rules. The rules of a classroom are opportunities to teach the skills and attitudes necessary to successfully co-exist in society. Caring ability is develop an active affective experience in the day to day operations of the classroom. We try to construct community in classroom that The teachers and parent, society closely together in making related to procedures, curriculum, instruction, and the daily operations of th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