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의 소통방법이 두 방법인 점에서 고찰해 본 수업 과정ㆍ절차이다. 인간은 ‘사고’와 ‘감성’으로 외부와 소통하고 있다. 사고과정은 사고하여 이해, 판단, 의사결정까지 연결되었을 때 올바른 결과가 도출된다. 감성과정은 예술작품을 감상할 때의 경우와 같이 문제를 느끼고, 공감하여 몰입되었을 때 창조까지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사고과정은 인간이 합리적으로 사고하게 하여 비판적 종합적 기능을 가지게 한다. 감성과정은 문제에 대해 공감을 하게 되면, 인간의 내부에 바로 연결되어 동기를 유발하고 실천할 수 있는 결단력으로 이어지게 한다. 도덕과 교육에서 사고과정은 인지적 접근이고, 감성과정은 정의적 접근이다. 인지적 접근은 궁극적으로 이성을 활용하는 것이다. 그 결과 과학기술의 발전을 가져오게 됨으로써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정의적 접근과정은 눈으로 드러내어 표현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하여 인지적 접근과정과 혼용되어 이루어지거나 인지적 접근과정으로 대체되고 있다. 현재 도덕교육의 실효성이 제고되고 있는 이유 중에서 한 가지가 지식과 실천의 괴리이다. 그것은 정의적 접근이 축소되고 인지적 접근으로 대체된 결과 아이들의 지식이 실천으로 이어지는 동기와 결단력이 길러지지 못한 것이다. 인지적 접근과 정의적 접근의 어느 한 쪽이 축소됨이 없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올바르게 위치지워질때 도덕교육의 실효성이 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문제인 공동체 유대감의 파괴현상, 물질 만능주의, 이기주의, 인간 소외현상, 청소년 문제 등은 이성의 집중-감성과정의 축소-으로 생긴 문제이다. 그러므로 두 가지 소통방법이 도덕과 교육에서 분명하게 이루어진다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elementary ethics education faces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The most difficult challenge among them may involve its effectiveness; will the children put into practice what they have learned at school?It was since the 4th National Curriculum that our elementary ethics subject began to adopt the cognitive approach which focuses on knowledge, reasoning and judgement to sharpen the ethical wisdom. However, the cognitive approach would soon expose various problems in terms of effectiveness of ethics education, and thu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ould switch to a virtue-centered ethics education aimed at both affectionate and behavioral development. Nevertheless, the effectiveness of our elementary ethics education is still questioned. Our human think to understand, judge and decide on an issue, while feeling it. In ethics subject, the process of thinking corresponds to the cognitive approach, and the process of feeling corresponds to the affectionate approach. The former uses the reason, which is believed to have greatly conduced to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contrast, the process of feeling helps motivate the children to practice what they have learned. Although both processes should have been encouraged for our children's development, the process of feeling has been overwhelmed by that of thinking. As a result, our children are little motivated to practice their knowledge, which justifies the importance of the affectionate approach in the elementary ethics education. All in all, we need to reedit our elementary ethics text books, so that both approaches can be well balanced in our elementary ethics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e lower-grade elementary children need to be educated more from the affectionate perspective, while the higher-grade ones need to be educated more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If the two approaches should be well harmonized, our elementary ethics education would be more effective, and then, such problems of our community caused by the belief ‘Reason is Panacea’ as egoism, mammonism, human alienation, juvenile delinquencies would be much relie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