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1894년에서 1910년에 이르는 근대계몽기에 사용된 여학생용 초등 수신서의 특징과 한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근대계몽기에 나타난 ‘여성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당시에 활용된 3종의 여학생용 초등 수신서, 즉 이원긍의 「초등여학독본」, 장지연의 「녀독본」, 노병선의 「녀소학슈신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서적들은 다음의 특징들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는 ‘여성과 남성’ 혹은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관계 같은 여성 내 권력 구조’에 대해 동등의 담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유교적인 관념과 종교적인 믿음’ 혹은 ‘전통적인 여성상과 서구적인 여성상’의 결합⋅공존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모두 애국심 있는 국모의 양성을 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서적들은 위 특징들과 교육사적 의의를 지니면서도, 다음의 한계들을 함께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이 서적들로부터는 여성 자신의 자아실현 촉구를 강조하는 내용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당시 널리 사용되었던 남학생용 초⋅중등 수신서들과는 달리 근대적이고 민주적인 성격의 내용들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까닭에 근대계몽기 여학생용 초등 수신서들은 동등의 담론이나 전통과 서구의 결합⋅공존 현상 등을 중요한 특징으로 지니면서도, 여전히 전근대적인 성격을 탈피하지 못하는 ‘어중간함’을 드러내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elementary moral training textbooks for female students used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recognition of women's education shown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and then also analyzed three types of elementary moral training textbooks for female students of the time such as Chodeung Yeohak Dokbon(初等 女學讀本) , Yeoja Dokbon(女子讀本) , Yeoja Sohak Susinseo(女子小 學修身書) .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ose textbooks had the characteristics like following. First, the discourse of equality is suggested. Second, the tradition and the west are combined and coexisted. Third, they aim to foster the mother of the state. However, they also had limitations like following. First, the images of women themselves are getting lost. Second, there are no such contents showing modern and democratic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