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플라톤의 초기대화편에서 보이는 소크라테스의 정의의 원칙과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특히 대화편『크리톤』에서 보이는 정의의 원칙은 크게 여섯 가지로 구분된다. 이러한 원칙들은 모두 어떤 경우에도 정의롭지 못한 짓을 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근거로 하고 있다. 그런데 당시의 보편적인 정의는 보복적 정의로, 이것은 소크라테스의 정의와는 다르다. 보복적 정의는 상호성을 토대로 하며, 오랜 기간 널리 받아들여진 정의의 개념이다. 이것을 반대하는 소크라테스의 정의는 파격적이고 이상적인 주장이다. 그는 언제나 추론해보고 가장 좋은 것으로 보이는 원칙을 따른다. 소크라테스의 정의의 원칙을 통해 복수를 하지 말아야 하는 근거를 찾아 볼 수 있으며, 용서와 화해를 통합하여 진정한 정의를 실현해 볼 수 있다. 또한 정의와 덕, 그리고 행복의 관계를 통해, 정의로운 사람은 덕을 갖춘 사람이며 행복한 사람임을 알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정의가 비록 이상적일지라도, 인간의 도덕 수준을 더욱 성숙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주제어] 정의, 정의의 원칙, 보복적 정의, 소크라테스의 정의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inciple of Socrates' justice and its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in Plato's early dialogues. In Plato's Crito, principles of Socrates' justice is classified into six. All of these principle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n any case not even just shouldn't have done. However, the general conception of justice in that time is the revenge conception of justice. This is different from the Socrates' justice. The revenge conception of justice should be based on mutuality, widely be accepted of a long period of time. Socrates' justice objecting to the revenge conception of justice is unconventional and an ideal argument. Always after reasoning, he follows the principle seems to have the best. Through the principle of Socrates' justice, it is found the evidence that should not be revenge, it can be realized the true definition by integrating th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virtue and happiness, it can be seen the just man is a person with virtue and is a happy person. Even though the ideal of Socrates' justice, it can make to the level of human morality more m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