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식자본시대로 진입함에 따라 기업들은 연구개발, 광고 등 무형자산을 생성시키기 위한 지출을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개발지출과 광고지출 등 무형자산에 대한 지출과 기업 이익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이제까지 연구들에서는 연구개발지출은 이익에 대한 영향이 유의적인 양의 부호를 보이는 반면, 광고지출은 그 결과가 일관성이 없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비일관성은 브랜드 등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지 아니한 결과임을 마케팅 분야의 연구들에서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 브랜드 구축 여부에 따라 연구개발지출과 광고지출이 기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개발지출과 광고지출은 기업이익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브랜드를 고려한 분석에서는 브랜드를 구축한 기업에 있어서는 광고지출이 기업이익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브랜드를 구축하지 못한 기업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업의 규모 등 추가적인 통제변수를 도입한 후에도 여전히 유의하며 계수값이 거의 동일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가 광고 효과에 조절변수 역할을 한다는 마케팅 분야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선행연구에서 광고지출의 이익관련성 분석에서 비일관성을 보이는 것은 브랜드 변수를 누락한 데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이 광고지출을 결정함에 있어서 브랜드 구축 등 다른 변수를 고려하는 전략적 사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한글색인어: 무형자산, 브랜드, 이익효과, 연구개발지출, 광고지출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that intangible asset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firm value in a knowledge-based economy. The literature in accounting includes several empirical studies linking firm value and/or earning and the expenditures for R&D, advertising, and human capital, which generate intangible assets.Prior research shows th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R&D expenditures on earning, but the effects of advertising expenditures are mixed (Lev and Sougiannis 1996, Cho and Chung 2001, Peles 1971, Abdel-khalik 1975, Falk and Miller 1977, Lee 2001). Brand is an intangible asse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advertising. Brand value estimates, however, are consiste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ice and return (Aaker and Jacobson 1994, Barth et al. 1998, Kallapur and Kwan 2004), while the effect of advertising on them varies over time and among companies and products.Several studies in marketing provide useful evidence to solve the difference of the results. Campbell and Keller (2003) find that the communicative effecti- veness of advertising depends on prior familiarity with the advertised brand, which suggests that the mixed earning effect of advertising expenditures may be caused by brand familiarity of the firm.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 of R&D and advertising expenditures on earnings.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s between the firms owning familiar brands and other firms. The first set of tests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ordinary income and advertising and R&D expenditures. Specifically, we estimate the following cross- sectional regression (5).The next set of tests examines the differential earning effect of advertising and R&D expenditures which may be caused by brand familiarity. The following cross-sectional estimation equation (6) including brand dummy specifies our second reg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