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예산기반 보상에 있어서 통제의 두 가지 핵심적인 요소인 예산목표와 변동성과급의 동기부여 효과를 연구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기대수입이 높을수록 그리고 예산목표의 난이도가 높을수록 종업원은 더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예산목표 수준이 높을수록 기대수입이 낮아진다는 점에서 볼 때 두 주장은 상충된다고 할 수 있다. 두 주장을 일관성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1) 준거수입과의 격차를 감소하기 위한 노력이 피험자가 더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하고, 2) 격차가 증가할수록 동기의 크기가 커진다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실험은 예산목표와 변동성과급의 수준을 상이하게 적용한 4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집단내 비교와 집단간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결과, 변동성과급 수준의 증가에 의해 준거 수준이 증가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양의 격차를 확인할 수 있었고, 예산목표의 증가에 의해 예상 수입이 준거 수입보다 적음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음의 격차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산목표 증가에 의한 음의 격차와 변동성과급 수준의 증가에 의한 양의 격차는 독립적인 정신적 회계의 영향으로 가산적인 효과를 가진다고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est motivational effects of two control devices, budgetary goals and variable performance-based pay, which are key components under budget-based reward system. According to prior researches, higher performance of employees can be achieved from higher expected income and/or more difficult goal. In some cases, however, two assertions are conflict. In goal setting theory, more difficult goal leads to lower expected income. In economic model, however, lower expected income can’t leads to higher performance. To get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wo theories, this study builds the propositions that 1) efforts reducing discrepancy with reference income leads to subject’s higher performance and 2) the motivation is bigger as discrepancy increases.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y 4 experiment groups applied with different levels of budgetary goals and levels of variable performance-based pay. The results was that positive discrepancy is induced by the increase of level of variable performance-based pay and negative discrepancy is induced by the increase of level of budgetary goals. Positive discrepancy and negative discrepancy induced by increasing of variable performance-based pay and budgetary goals had additive effects through independent mental accounting.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Budgetary goals, Variable performance-based pay, Mental accounting, motivational effects, reference income, discrepancy r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