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형 공사계약에 대한 우리나라의 현행 회계처리규정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제회계기준, 미국회계기준 및 우리나라의 회계기준을 서로 비교검토 하였으며,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대금청구회계의 경우 미국회계기준과 국제회계기준 간에 약간의 개념적 차이가 존재하는 바, 향후 우리나라에서 관련 회계기준을 정비할 때에는 이러한 차이가 잘 반영되어야 한다. 개념적으로는 미국의 회계처리방법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공사손익의 계산방법과 관련하여 매출총이익법보다는 수익비용법이 개념적으로 보다 나은 계산방식이라고 판단되며, 매출총이익법의 개념적 내지 실무적 한계점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차 건설될 아파트의 분양원가공개 문제는 기업회계의 문제라기보다는 행정당국의 정책선택의 문제이다. 다만, 회계적으로는 건설회사의 장래 현금흐름 예측목적상 회계연도말 현재 진행중인 공사계약과 완공된 공사계약에 대한 개별적 공사계약정보를 공시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넷째, 공사비용과 공사원가라는 용어는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practice and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Korean accounting standards for construction contracts. For this objective, we compared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merican accounting standards and Korean accounting standards, and thereby could get the following main conclusions. First, there exist som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IAS 11 and U.S. GAAP. with regard to accounting for billing contract fees, and this point needs to be properly reflected in adopting accounting methods for billing contract fees in Korea. From conceptual viewpoint, U.S. accounting treatment seems to be superior to IAS 11. Second, in computing the profit from construction contract, the revenue-cost approach appears to be conceptually better than the gross-profit approach,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limitations of the gross-profit approach. Third, opening the costs of apartments to be constructed is not an accounting problem but a matter of policy choice of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However, we suggest the information disclosure about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construction contract for forecasting future cash flows of the constructing company.Fourth, the terms ‘contract cost’ and ‘contract expense’ should be used in their correct and precise meaning to avoid conf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