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역대상 6장의 레위 족보와 도시 목록을 통해서 드러나는 역사가의 역사적 이상이 무엇인지를 찾는 것이다. 족보와 도시 목록이 함께 등장한 것이 질문을 유발하는 것은 이 목록이 바로 레위 지파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러하다. 제사장으로서의 기능을 한 혈통에 집중시키고 있는 족보에 뒤이어 전체 레위인들의 도시 목록이 등장함으로써, 이 목록이 단지 아론-사독계의 제사장권 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드러난다. 이는 곧 도시목록 속 도시의 기능에 대해 묻게 되고, 동시에 제사장이 아닌 다른 레위인들의 기능에 대해서도 질문하게 된다. 역대상 6장의 도시목록과 평행본문인 여호수아 21장의 도시목록을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있다. 먼저, 목록의 문맥상 위치의 차이가 있다. 여호수아서는 모든 지파가 땅을 분배 받는 이야기 중에 등장하는 반면, 역대기서는 레위 지파 족보를 언급하는 중에 도시 목록이 등장한다. 그렇기에 여호수아의 도시 목록은 자연스럽게 도시를 받게 된 전체 레위 지파에 초점이 있다면, 아론-사독이라는 혈통으로 이루어지는 족보 이후에 목록이 등장하는 역대기서는 레위 지파 안에서 혈통 및 기능적 차이를 근거로 하고 있다. 결국, 우리는 이 문맥 안에서 도시의 기능적 차이가 무엇인지를 찾아야 한다. 레위의 도시목록에는 도피성이 포함되어 있다. 도피성은 민 35:9-34과신 4:41-43, 신 19:1-13, 수 20:1-9에도 등장한다. 그러나 이 본문들을 통해서 도피성이 레위인에게 수여되기는 했지만 종교적인 기능을 했던 도시였음은 언급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장로들과 회중의 역할만이 언급되고 레위인들의 역할은 어디에도 언급이 없다. 그렇기에 도피성은 종교적 기능을 하는 도시이기 보다는 사회적-행정적 기능을 하는 도시였다. 도피성이 포함되어 있는 도시목록을 가진 역대기와 여호수아는 이를 표현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여호수아서는 도피성과 레위 도시를 명확하게 구분해 주고 있는 반면, 역대기는 단지 도피성에 대해 두 번 언급하며, 이마저도 복수 형태를 사용하여 도피성과 레위 도시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모호성이 레위 도시들을 도피성과 같이 사회적-행정적 기능을 하는 도시들로 이해하게 만들었다. 저자는 제사장 그룹과 나머지 레위인들을 분명하게 구분하면서 동시에 종교적 기능을 하지 않는 레위인들에게 사회적-행정적 기능을 확장함으로써 종교적 중앙화와 더불어 사회적 행정적으로 레위인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곧 페르시아 시대를 사는 저자가 바라보는 역사적 이상이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ronicler’s historical ideal from 1Chr. 6. The Levitical Genealogies and Cities arouse some questions, for this lists have relevance to the Levites. The list of Levitical Cities follows the genealogies which converge on the descendants of Aaron, especially the Zadoqites. Hence, I raise the questions what the functions of the cities and the rest Levites are. Comparing with the parallel text, Josh. 21, I find some differences. First of all, it is a contextual difference. In Joshua, the list is connected to the land distribution, while the list in Chronicle is connected to the Levitical Genealogies. So the list of Joshua focuses on the entire Levites, whereas the one of Chronicle stresses a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priestly lineage and the rest. Then, what is the function of Levitical cities in the texts?The cities of refuge are also in Num. 35:9-34, Deut. 4:41-43, 19:1-13 and Josh. 20:1-9. But in these texts the cities of refuge are not related to the Levites but rather to the elders and congregation, though these are bestowed on them. Accordingly, the cities of refuge are not the cultic cities but rather social-administrative cities. The cities of refuge are included in both Josh. 21 and 1Chr. 6.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ay of description. Josh. 21 distinguishes between the cities of refuge and the Levitical cities, whereas 1Chr. 6 obscures the separation. This ambiguity shows that the Levitical cities have the social-administrative function. The author obviously separates the priestly group from the Levites, at the same time he extends the Levites’ function into the social-administrative function. As a result, the author expects not only the cultic function but also the social-administrative function from the Lev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