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하블록에 따르면 헤시오도스의 이상적인 사회에서는 땅이 저절로 풍요를 가져다 준다. 그러나 그것은 자발적인 기능의 배분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토피아이다. 헤시오도스에게 노동이 없는 낙원은 존재하지 않으며, 땅은 노동 없이 저절로 먹을 것을 주지 않는다. 크로노스가 지배하던 황금의 시대에도 노동은 있었으며, 다만 그것이 잘 배분되어져 있었을 뿐이다. 헤시오도스의 이상은 제우스가 아니라 그 아버지 크로노스의 치세인 황금 종족의 시대이다. 그리고, 그 후 상계하는 4 종족은 타락으로만 점철한 것이 아니다. 4 번째 영웅 시대의 종족은 그 전보다 더 우수하고 정의롭다. 이들은 전쟁터에서 죽게 되는데, 전쟁의 원인도 일면 정의, 질서 등과 무관한 것이 아니다. 또 그 가운데 일부는 저 먼 땅 끝 축복의 땅으로 가서 크로노스의 치하에서 살고 있다. 판도라의 상자가 열린 다음 과로, 질병, 빈곤, 탐욕, 사기 등이 난무하면서 제우스가 정의의 수호자가 되었다. 그런데 이 제우스의 정의도 궁극적으로는 노동의 공정한 배분을 통하여 편안하고 즐겁고 풍요로운 생활을 실천하는 데 있다. 히브리인 성경에 보이는 가끔은 ‘무자비한’ 전쟁의 신도 공동체 존립에 필요한 가치관을 투영하고 있으며, 그 투쟁의 대상은 삶의 터전이 되는 땅,생계에 필요한 양, 사랑하는 여인 등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 외적 뿐 아니라 한 공동체 내부인의 반사회적 행위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스 서사시와 성경의 연관성은 개인전의 형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헤시오도스가 『노동과 나날』에서 언급한 트로이아 전쟁은 개인전이 자주 이용되었는데, 이것은 중무장 보병같은 조직적인 군사력이 아직 발달되기 전, 전체 집단의 희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 장치였던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겠다. 개인전의 전사(promachos)들이 활약한 그리스의 서사시와 유대인들의 성경에 보이는 사회는 훗날 알렉산드로스 제국, 나아가 전 지중해를 석권하게 되는 로마제국과도 다른 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직업 전사들인 용병의 조직적 군사력에 의지하여 군국주의와 전제적 권력을 지향한 위정자들이 대두되는 한편, 공동체가 붕괴되면서 사회계층의 분화,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기 때문이다. 헤시오도스의 『노동과 나날』에 나오는 판도라는 유대인 성경의 실낙원의 주제와 상당히 유사성을 갖는다. 판도라 때문에 모든 질병, 고통, 재앙, 노고 등이 인간을 피곤하게 만들었다. 낙원에서 쫓겨난 인간도 산고와 노고의 짐을 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 때까지만 해도 전쟁에 대한 언급은 없다. 결론적으로, 정의로운 삶은 노동에 의한 평화로운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점에서 헤시오도스의 『노동과 나날』과 『구약성경』은 공통점이 있음을 보게 된다. 다만 『구약성경』에서는 신의 정의가 개인 뿐 아니라, 그리스의 서사시에 비해볼 때, 공동체 집단을 대상으로 구체화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이것은 원심적인 권력 구조의 고대 그리스와 동방적, 가부장적 권력구조의 히브리 인들의 사회구조적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가 가능하겠다. 그리스와 근동은 그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상호간 문화차용이 없지 않았겠으나, 그 구체적 적용에 있어서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E.A. Havelock supposed the ideal condition of the Golden Age of Hesiod as a spontaneous provider. It is a social utopia, however, of distributed functions voluntarily performed. It has to be kept in mind that Hesiodos never suggested the paradise without labour. Even in the Golden Age when Kronos governed, work should be carried out, but well divided to everybody. The ideal land of Hesiodos was not ruled by Zeus, but his father Kronos whose reign was of Golden Race of men. Four races following the Golden Age were not just on the process of uninterrupted degradation, as the fourth race of heroes, it is said, was superior and righteous. Even if considerable part of them were to die during the war, the cause of war more or less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justice or revenge. Moreover a few of them got to be assigned to the isles of the blest at the ends of the earth. There the glebe yields them its fruit twice a year under the reign of Kronos. Zeus came on stage as a protector of justice, just after the box of Pandora opened and hard labour, disease, poverty, avarice and malice got disseminated. Then, the ultimate purpose of his justice was to realize the convenient and abundant life by fair division of labour. Inexorable wars and punishment described in the Bible used to speak for the standard of values necessary for the survival of community. The purpose of war could be getting back territory, sheep, or woman. Moreover, not only the enemy of outside but, now and then, anti-social behaviors in a community should be checked by the sway of God or gods.. The similarity between the Greek epics and the Bible could be found in the group of people, ‘promachoi’, fighting in front of the main body of troops. In the Works and Days Hesiodos referred to the Trojan War, where individual warriors, ‘promachoi,’ were frequently described. The ‘promachoi’ seemed to be a device averting mass sacrifice, prevailing in the stage military forces in full kit (hoplites) were not fully developed. The society of the Greek epics or the Hebrew Bible the ‘promachoi’ played more or less a role were dissimilar to those of the Empire of Alexander or Rome. In latter cases, militarism and despotic political power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professional mercenary forces, and the values of community got deteriorated and social differentiation and inequality intensified. The story of Pandora in the Works and Days of Hesiodos is quite similar to that of lost paradise in the Bible. Every disease, pain, disaster and hard labour from the box of Pandora put the humankind into the yoke. In similar way, those banished from the Paradise got shackled by the pain of delivery and hard labour. In both cases, however, war was not referred to. In conclusion, common factors could be found in Hesiodos’ Works and Days and the Hebrew Bible, as in both cases the justice of humankind was ultimately connected with the peaceful life committed by work. In the Bible, however, the justice of the God used to be realized against a whole community for having betrayed the God's will, which was utterly unfamiliar to the ancient Greek society. This difference, it could be said, originated in the different social structures, as the oriental Hebrew was more patriarchal and group-oriented than the Greek of decentralized social structure. There could be interrelations beween Greece and the Near East as they were geographically contiguous, but practical applications in detail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own social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