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반적으로 관광체험연구는 행동중심으로 기존 연구들이 관광자의 심리적 과정을 관광지 선택단계인 관광동기에서부터 관광지 현지체험, 그리고 관광 후 평가단계인 관광만족도로 세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지 현지체험 단계에서의 심리적 체험이 관광 후 평가단계인 관광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을 참고한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타당성 구축과 이에 근거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변수들 간의 가설 설정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체험'으로 자연과의 교감, 감정정리, 친절성 등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 만족도'에 대해서는 관광을 체험하는 동안 느끼는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방문 의도'에서는 여행경비가 50만원 미만이 59.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관광객들의 경비부담의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고, 5회 이상의 방문자가 21.8%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적인 소득 계층이 제주도를 재방문 하겠다는 의도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바람직한 관광 행동을 유도하거나 관광지 특화를 진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주요용어 : 심리적 체험, 관광 만족도, 관광 행동, 관광지 특화.I. 연구목적인간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물질적인 조건과 함께 정신적인 여유가 필요한데, 이러한 정신적 여유를 즐기는 시간들이 바로 여가생활이며, 하나의 방법으로 관광을 들 수 있다. 오늘날의 관광은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위한 개인 생활의 일부로서 사회화된 인간의 제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수단이 되고 있다. 소득의 증가와 여가시간의 확대, 생활가치관의 변화로 여가활동을 통해 사회적 접촉과 성취감을 느끼기보다는 점차 여가활동을 통해 사회적 접촉과 성취감을 느끼는 시기가 가속화되고 있다(엄서호, 2001). 그런데 관광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체험이 개인의 사전 기대나 동기와는 별개로 준비가 안 된 새로운 욕구가 발현할 수 있으며,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Iso-Ahola, 1980). 성영신과 정준호의 연구(1996)에서는 심리적 체험이 사회적 물리적 환경요소 뿐 아니라 활동 자체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도 유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방문한 관광객이 관광지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체험이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며, 또 심리적 체험이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In general, pre-existing studies on tourist experience tend to focus on the psychological stages of tourist place selection, and from such a perspective, divide tourists' psychology into tour motive, that is the psychological stage of selecting tourist places, field experience and tourist satisfaction, which is the estimation stage after the tour. Focusing on the field experience stage,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xperience on tourist satisfaction and the intension to revisit the tourist place. An empirical research was carried out in June of tourists who finished their trip and were about to go back, and 179 of the total observation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ympathy with nature, emotional adjustment and kindness among psychological experiences, have influence on tourist satisfaction. As for the influence on the intension to revisit the tourist place, the satisfaction which the tourist feel during tourism turn out to have influence. Here, the intension to revisit the tourist place show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ge. This results provides such suggestions as follows. This study helps understand those who visit Jeju island and also will serve as an basic material to be used to induce proper tourist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made of measures for psychological experiences, providing comparison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by tourist place. Thus,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basic material for differentiation of tourist places or diagnosis of tourist place differentiation. From this result, one may think that the natural tourist resources in Jeju will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Thus, it suggests that Jeju is required to develop its tourist resources while preserve its natural resources in order to gain competitiveness in the tourist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