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암 발생률의 증가와 함께 체표면적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어 왔다. 몸무게에 비하여 체표면은 비정상인 지방질의 무게에 영향을 덜 받는다는 장점 때문에 암치료의 화학요법 약품들의 복용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흔히 쓰이고 있다. 화학요법의 인체부작용이 매우 심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적정 복용량의 추정은 의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체표면 추정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계속 되어 왔다. 특히, 소아암의 발생률이 높아져 가고 있는 현실에서 영유아의 체표면적 추정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영유아인 경우 가장 정확한 체표면 측정방법으로 알려진 코팅 방법으로 체표면을 추정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Boyd(1935) 이후 신뢰할 만한 체표면 측정자료가 수집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Boyd(1935) 에 수록된 서양 영유아 체표면 추정식을 한국 영유아의 체표면 추정에 수정 없이 사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것을 밝혔고, Boyd(1935)와 KFDA 영유아 체표면 자료에 외삽법을 적용하여 영유아의 체표면적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The Interest in body surface has increased with cancer incidence rate. Because body weight can be affected easily by abnormal adipose mass, body surface is commonly used for determining the right dosage for cancer patients. So far, most researches were conducted based on measurements from non-asian adults. Recent increment of pediatric cancer incidence rate caused higher demand on the study of body surface of infant and younger children in Asian country. However, because the coating method, which is commonly known as the most accurate body surface measurement method, may cause unexpected accidents to infant or younger children, their body surface was not accurately measured since 1935. In this paper, using currently available (limited) data in Boyd(1935) and KFD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ody surface area data sets, we show that non-asian children data set in Boyd(1935) is inappropriate to use for the estimation of Korean children's body surface. Also, we propose an body surface estimation formula for Korean children using extrapo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