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운동종목에 따른 사상체질별 참여동기와 운동지속의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스포츠분야에 다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PSS/PC+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운동종목에 따른 사상체질별 참여동기와 운동지속의 차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종목별에 따른 체질별 참여동기에 대한 차이는 골프에서는 즐거움 · 컨디션에서 차이가 있는 나타났으며, 소양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헬스에서는 즐거움 · 컨디션, 기술발달 · 성취감, 사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즐거움 · 컨디션에서는 태음인이, 기술발달 · 성취감, 사교에서는 소양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종목별에 따른 체질별 운동지속에 대한 차이는 골프와 헬스에서 운동지속 모든 요인이 차이가 있는 나타났으며, 골프의 운동능력과 운동친구에서는 소양인이, 운동습관과 운동관심은 태양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헬스의 운동능력, 운동습관, 운동관심에서는 소양인이, 운동친구에서는 태음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영에서는 운동습관, 운동관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양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요가에서는 운동관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양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classified by Sasang constitution and exercise adherence, according to the sports and aims to provide a various information of sports area.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classified by Sasang constitution and exercise adherence, according to the sports using the SPSS/PC+ WIN. 15.0 program. First,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motive classified by Sasang constitution due to spor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uch as pleasure, condition for golfing and pleasure, condition, technology development, sense of accomplishment, sociality for weight training. Second, the difference of exercise adherence classified by Sasang constitution due to spor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all the exercise adherence causes for golfing and weight train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lso appears to show an exercise habit and exercise attention for swimming and an exercise attention for yo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