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생태학에서는 장소별 종의 출현을 빈도로 표현 한 이차원 분할표 자료가 종종 관찰된다. 이러한 자료를 종-발현(species-abundance) 자료라 한다. 그런데, 개체 출현 빈도는 해당 장소의 환경 인자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종-발현 표에 환경 인자가 추가된 구조의 자료를 종-발현-환경(species-abundance-environment) 자료라 한다. 일반적으로 장소에 따른 종의 출현 정도에 대한 분석으로 정준상관분석이나 대응분석 등이 사용되나 환경 인자가 추가된 경우, 환경의 영향력을 고려한 정준대응분석이 필요하다. 한편, 종-발현 자료에 단순 대응분석을 시도하면 종종 아치효과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아치효과를 제거하면서, 환경 인자의 방향성에 따른 종의 출현 빈도를 고려하는 무경향 정준대응분석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자료분석을 다루었다.


A mixed two way contingency tables are observed in ecology which have two types structures with categorical data and continuous data. This type is called 'species-abundance- environmental' data in ecological statistic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correspondence analysis have become the instruments of choice for data analyst of species abundance. But, environmental factors have affected on species abundance, and community ordinations have appeared on environment directions. In addition, an arch effect has been observed in ecology data frequently.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for the species-abundance-environmental data, which is the one of the methods to find the community ord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