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화와 급격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대도시와 지방중소도시의 지역 간 불균형적 발전으로 인한 소득격차가 심화되어 왔다. 본 연구의 대상인 경남지역의 실질적인 생활권을 파악하기 위하여 면(面)단위를 중심으로 면적, 가구수, 인구수, 고령인구수, 사업체수, 사업체 종사자수 등의 변수를 설정하고,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를 추출하여 분석하며 농산어촌 지역을 유형화함으로써 실질적인 생활권 중심의 면단위 발전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성분석을 위한 요인분석의 결과로 나타난 면별의 특성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총 5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1군집은 농촌중심형 성격으로 51개 면, 제2군집으로는 고용중심형 성격으로 2개 면, 제3군집으로는 공공 및 의료 중심형으로 29개 면, 제4군집으로는 교육 및 고용중심형 성격으로 83개 면, 마지막 제5군집으로는 자연 및 관광 중심형 성격으로 1개의 면이 분류되었다.


Imbalance development and income gap have been intensified between metropolitan and local cities in the process of Korea's industrialization and rapid economic growth since 1970. In order to catch the substantive living space, set of variables was the area, number of households, population, aging population, company, practician in company focusing myeon unit of Gyeongsangnam-Do local governments. Among these variables are extracted highly correlated variables by analysing, Development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by focusing on practical living area. In results of this study, Cluster 1 is typically rural area types, cluster 2 is 2 myeon were classified as center of employment type, cluster 3 is 29 myeon were classified as center of public and medical type, cluster 4 is 83 myeon were classified as center of education and finance type, cluster 5 is 1 myeon were classified as center of nature and tour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