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병원을 대상으로 병원의 일터학습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일터학습은 공식적, 비공식적 일터학습으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식적 일터학습,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은 혁신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은 비공식적 일터학습과 혁신성향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병원에서 조직구성원들의 혁신성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일터학습, 특히 공식적 일터학습이 필요하며, 비공식적 일터학습이 혁신성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조직비전을 명료하게 하고 이를 조직구성원들에게 명확하게 인식,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place learning and innovativeness also verifies the role of perceived clarity of organizational vision as moderator among those variables. workplace learning literatures suggest that workplace learning consist of two variables such as formal and informal workplace learning. to test main effect hypothesis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survey method was performed by 203 hospital employees at 15 different hospital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in effect hypotheses, formal workplace learning have positive impacts on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clarity of organizational vision also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ness. Seco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perceived clarity of organizational vision have moderating effect between informal workplace learning and innovativeness. This results shows that more focus on workplace learning and share the clarity of vision to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 and pursuit for hospital's employees innova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