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A형 행동유형의 분포를 확인하고 A형 행동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및 우울정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시행하였다. 자료는 2013년 5월 8일부터 28일까지 S특별시, B광역시 및 K도에 7개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7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A형 행동유형은 JAS(Jenkins activity survey), 수면의 질은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와 우울은 BDI(Beck depression index)를 국내에서 번안한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하였으며,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형 행동유형의 대상자는 55.4%로 나타났고, A형 행동유형 대상자의 수면의 질은 대학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우울정도는 연령, 학년, 계열 및 흡연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형 성격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과 우울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생의 과반수이상을 차지하는 A형 행동유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이들의 학년 및 대학계열에 따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 type behavior patter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 were 379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attending 7 universities in S-city, B-city and K-do. Data was collected from May 8 to May 28, 2013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Jenkins activity survey and Beck depression index.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Scheffė test, chi-square test with Fisher exact test by SPSS 21.0 program. The percentage of the A type behavior pattern was 55.4%. The mean score of sleep quality was 5.89, depression was 8.0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A type behavior pattern. In type A behavior pattern, difference in depres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were age, grade, course, and smoking. Difference in sleep qua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of type A behavior personality was course. The finding form this study indicate when manage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among type A behavior pattern university students, the strategies need to address smoking and general characteris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