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40세 이상 60세 미만으로 GㆍJ지역에 거주하는 중년남성들의 생활만족도, 노후준비도, 노후불안과 관련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중년남성의 성공적인 노후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단변량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중년남성의 연령, 교육수준, 종교, 경제적인 상태에 따라 우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노후준비도가 낮을수록, 노후불안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종교, 노후준비도, 경제적인 상태, 연령 순으로 이들 변인은 우울의 총 76.7%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이 요인 중에서 우울의 반응값이 가장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교육수준임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 life satisfaction, preparation for old age, aging anxiety, depression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in middle aged men. Factors that affect depression is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religion, preparation for old age, economic status and age. Also, strange cause of these was 76.7% of depression. Middle aged men need retirement planning education to get the certain level of financial resources, and need self-help group which is to overcome the crisis of middle-age with seniors and colleagues for nursing intervention. Also, nurse should determine realistic conditions of middle aged men and then recommend social activities to minimizing the negative impact of internal, external subjective health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