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레저의 영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관한 연구들과 이론에 근거하여 레저에 대한 새로운 영적 개념의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레저의 영적이해를 위해 존재-상태로서의 레저개념과 레저 안의 영적체험, 리미노이드 현상을 살펴보고, 성(聖)과 속(俗)의 종교학적 개념을 적용하여 레저를 ‘일상의 신성화’라는 영적 개념의 틀을 제시하였다. 신성화란 영적으로 민감해지거나 일상적인 상태를 벗어나는 과정으로서 레저는 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신성화로서 레저개념의 틀은 일상을 초월하고 이를 성찰하거나 반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영적 태도 혹은 영혼의 조건으로서 레저를 설명한다. 이러한 영적 개념의 틀은 현재 레저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적 체험들을 이해하고, 영성과 영적 웰빙을 추구할 수 있는 레저의 영적 강점을 강조하며, 더 나아가 레저의 궁극적인 목표인 ‘행복한 삶’에 도달할 수 있는 바람직한 레저문화를 수립하기 위한 밑그림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framework for spiritual conception of leisur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ate-of-being concept of leisure and previous major studies on spirituality and spiritual experiences within leisure were reviewed. Applying the "sacred and profane" frame of religion study to leisure, the spiritual conception of leisure could be regarded as the "sacralization" of ordinary life (which means the process of being sensitized to spiritual or leaving the ordinary state). Leisure activities may facilitate sacraliztion. In terms of the sacralization framework, leisure is explained as the spiritual attitude or the condition of the soul which make possible to transcend and introspect or reflect on ordinary life. This framework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spiritual experiences in leisure settings and emphasize on the spiritual strength of leisure to contribute a spiritual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