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일제하 의대 학생들의 조사 보고서를 분석하여 1930년대 조선 농민의 경제, 위생, 건강이 지니는 역사적, 사회적 의미를 검토한 연구 결과이다. 교육과정 중에 있는 학생들의 사회적 인식수준과 역사 사회상을 통합적으로 검토한다는 측면에서 교육사와 사회사, 정책사를 연결하는 의미를 지닌다. 이 글은 1940년에 출판된 『조선의 농촌위생』이라는 자료를 분석하여, 일제하 조선 농민의 생활과 농촌의 위생문제를 구체적으로 고찰한 논문이다. 『조선의 농촌위생』은 1936년 최응석을 비롯한 동경의 의대 학생들이 경상북도 울산 달리에 방문하여 한달간 경제구조와 인구구성, 식생활과 주생활, 부녀자와 유유아 문제, 체격과 발육, 농민의 질병을 조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조사자료를 가공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그에 근거해 조선농촌의 현실을 사회위생학의 시각에서 해석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울산 달리는 양극화가 심한 빈촌으로서, 그 열악한 경제여건은 농촌의 위생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다시금 농촌지역의 생산력과 생산구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었다는 것이 조사단의 결론이다. 달리 지역에서 확인되는 농촌위생의 실상에 비추어 보면, 조선의 농촌은 의료의 사각지대에 지나지 않았으며, 농민 대다수는 근대 의학 발달의 혜택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일본이 조선 식민지배의 성과로 과시하고자 했던 위생정책은, 지역별로 또 계층별로 차이를 보이면서 근대와 전통 사이의 갈등으로 인한 부조화를 드러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달리의 사례를 통해서 여실히 드러나듯이, 조선에서는 일제 지배의 말기에 이르기까지 위생정책의 목표가 건강한 국민의 양성이라는 적극적 범주 보다는 피식민지민의 생명 유지라는 소극적 범주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nalyzes farmers’ lives and sanitary conditions in Korean rural area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based on a review of the Sanitary Status of Korean Rural Areas published in 1940. The Sanitary Status of Korean Rural Areas was the result of surveys and investigations in the Dal-ri area of Ulsan, Gyeongsangbuk-do conducted by medical school students from Tokyo, including Choe Eung-Seok in 1936. They implemented a survey of the economic structure,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dietary and residential life, women and infants, physical conditions and growth status, and the diseases affecting farmers, over a one month period. This book displayed the results of the survey without any proper processing. It is characterized by an analysis of the reality of Korean rural areas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hygiene. The hygiene policy of imperial Japan designed to show off the achievements of its colonial rule over Korea in actuality exposed the unbalance stemming from the conflicts between modernity and tradition and regional and class-based differences. As clearly exposed in the case of the Dal-ri area, the goals of the hygiene policy in Korea were limited to the passive scope known as the maintenance of the life of the ruled, rather than the positive scope called the development of a healthy 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