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近年 학계는 동아시아 각국의 주체적인 시각에서 각국의 역사를 연구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晩淸 民國시기 中小學 중국사 교과는 모두 중국 중심주의를 기초로 하였기 때문에, 한국에 대해서 여전히 淸代의 藩屬으로서 한국 문화와 정치를 서술할 때는 중국과 연동되어 있음을 강조하였고, 中日 관계도 늘 일본 문화가 중국 문화를 계승하였다고 서술하였다. 이는 하나의 시대적 ‘역사 사실(fact)’이지만 만약 지나치게 이 관점을 강조한다면 일본이 강대해진 원인을 명확히 볼 수 없고, 일본과 한국의 주체적 시각에서 當地의 역사 문화를 연구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금세기 아시아 학계가 全球본토학(Golcaloy)의 관점에서, 地方(local), 區域, 全地球(global) 層次를 결합하여, 동서양의 상호 영향이라는 생각 아래 각국 학자들이 속한 지역에서 자기 국가를 위해 본국의 역사를 分期하는 표준을 설계하길 기대한다. 동시에 현재 중국, 일본, 한국의 삼국학자가 편찬한 『동아시아 삼국의 근현대사』가 아시아 지역에서 출판되었지만 초보적인 작업이며, 장래에 3국 학자가 함께 편찬한 보다 심화한 전문 교과서가 많이 만들어지길 굳게 믿는다. 삼국 학자의 서술 내용에 대한 國族主義 영향이나, 또 각지 학자들이 모두 자신의 관점에서 역사를 서술함으로써 아시아 국가 간에 모순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문제는 역사 사실과 사료에 위배되지 않는 하에 삼국 학자가 만족하는, 전지구화의 관점과 각국 본토화의 특색을 모두 갖춘 기본 교과서를 어떻게 만들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는 모두 미래의 삼국 학자가 해결하여야 할 문제이다.


After losing the war to the Eight-Nation Alliance, imperial China implemented a comprehensive education reform. With the realization that school textbooks were useful in transferring knowledge to students, and under the influence from Japan, imperial China issued a new series of history textbooks. At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Chinese scholars took the responsibility to write textbooks on Chinese history and world history for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tertiary institute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os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published between late Qing and 1949. The aim is to acquire an overview of the East Asian history constructed by the Chinese people during the post-First Sino-Japanese War period. It was found many of such textbooks still adopted a worldview which regarded China as the center of the world, with Korea and Japan being “foreign examples” to learn from. This has caused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genuine historical outlooks of the two countries, and moreover a lack of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East Asia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