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모든 교육 활동은 학습자로부터 출발하여 학습자에서 끝난다. ‘학습자로부터 출발한다’는 진술에는 학습자가 배움의 주체인 동시에 교육의 실제 내용과 결과를 결정하는 강력한 변수라는 점이 함축되어 있다. 앞으로 역사교육의 출발점으로서 학습자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 의제나 질문의 목록에 ‘사회 속에서 학습자들은 역사를 어떻게 배우는가?’를 추가해야 한다. 그러려면,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경험적 자료의 수집과 분석 연구가 꾸준히 축적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전국역사교사모임과 역사교육연구소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주요 자료로 삼아, 중·고등학생들의 한국현대사 인식을 살펴보았다. 중·고등학생들은 역사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역사를 배움으로써 자신들이 살고 있는 현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지혜와 교훈을 얻어서 좀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으며,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애정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현재를 더 잘 이해하고 오늘날 필요한 지혜와 교훈을 얻기 위해 현재와 가까운 시기를 잘 배워야 한다고 본 학생이 많았다. 학생들은 현대사의 주요 사건들의 역사적 중요성을 ‘현재성’, ‘교훈’, ‘시대적 과제’를 중심으로 평가했다. 한국 사회의 민주화, 민주주의 사회의 발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전쟁으로 고착화된 분단 상황 및 남북한 대립의 해소를 시대적 과제로 보고 있었다. 이러한 현실 사회 인식을 바탕으로 역사적 사건의 중요성을 평가하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교훈과 지혜를 찾고자 했다. 많은 학생들은 민주화가 산업화보다 본질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산업화나 경제성장은 그 자체가 목적이기보다는 인권이나 분배 등이 중시되는 사회, 사람이 무엇보다 중시되는 사회에서 모두가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적일 수는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근현대사 교육의 비중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하는 역사교과목 편제, 현대사의 주요 흐름을 파악하면서도 학생들의 현재적 문제의식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내용 구성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적이고 시사적인 문제로부터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출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계기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주목할 필요도 있겠다.


As the starting point of history educational Researches focusing on learners, the question of the social contexts of student’s historical knowledge is very important. In this survey, I analyzed statistical data abou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of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and history education. The data derived from detailed examinations of learner’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of the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that were carried out by the Institute of History Education in 2010 and 2013. Generall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interested in learning history, especially, nearly 30 percent of the them think that student should know mor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And they think that learning history will do them good to understand matters now, to learn lessen and wisdom for a better future. At ‘depths interview’, students judge importance of historical events by ‘present tasks and lesson of history’. They feel serious danger reality of national division of North and South, and tend to look for historical lesson for ‘peace settlement’ from the Korean War and the Inter-Korean summit. They are very proud of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value highly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pro-democratic resistance movement in 1987. They hope for harmonious development of democrat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the future, place special emphasis upon ‘distribution jus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