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영상분야의 연구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작업이다. 영상분야의 전반적인 조감도를 그리기 위해 이 논문은 세 가지 모델을 검토하였다. 첫째는 거시적 관점으로, 라스웰의 모델을 따라 영상물의 송신자, 내용, 매체, 수용자, 효과를 나누어 보는 〈구성요소 모형>이다. 둘째는 중시적 관점에서 영상물 제작자와 감상자 사이에 존재하는 의미생산과 공유 현상을 점검하는 〈의미작용 모형〉이다. 셋째는 미시적 관점으로, 인지현상의 적응과정에 따라 영상물의 내용이 융화적 또는 동화적인지를 검토하는 〈영상정보처리 모형〉이다. 그리고 구성요소 모형을 따라 이 논문은 <영상물 생산과 소비>, <영상 텍스트>, <영상 매체>, <영상 문화〉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논제를 제시하였다. 영상물 생산과 소비는 먼저 두 가지 축을 설정하고 이들을 교차시켜 네 종류의 구조적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는 영상자원의 발달여부에 대한 축이고, 둘째는 영상물의 기능이 상징적인지 또는 실용적인지에 대한 축이다. 여기에서 〈가부장적 귀족형>, <독점적 대중문화형>, <자아개발적 취향형>,<경쟁적 시장형〉의 네 가지 유형이 분류되었다. 영상텍스트는 심미적 관점과 의미론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심미적 관점은 <선과 공간>,<색과 명암>,<운동〉의 특성을 검토하였고, 의미론적 관점은 제작자의 〈기호학적 측면〉과 감상자의 〈해석학적 측면>을 다루었다. 영상매체는 역사적 발달순서에 따라 〈물감으로 그린 영상>, <빛으로 만든 영상>, <프로그램으로 짠 영상〉을 구분하고, 각각의 기술적 특성과 사회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한편 영상문화는 영상매체의 보급률과 활용도에 따라 생활양식에 미친 영향으로 규정하였는데, 영상매체가 귀한 상황에서는 영상물을 향유하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의 문화가 확연히 구분된다. 그러나 영상매체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영상문화의 독점상태가 약화되고, 누구나 쉽게 영상물의 제작과 소비에 참여하는 포스트모던 문화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systematically the area of visual image and set the domain of this newly developing academic field. It employs three theoretical models to conceptualize the field of visual image at different levels. First, at macro level, Lasswellian SMCRE model is employed in order to identify major components of social phenomena of visual products. At medium level, meaning system model is introduced to examine the meaning creating and understanding between producer and consumer of a visual image product. Adaptation model is constructed at micro level for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a visual image, whether it is toward objective outer phenomena or subjective inner status. This article divides four subarea for further analysis: production and consuming structure, media, message, and culture. It tries to identify relevant agenda of each area, and organize them into a single mapping system. Two dimensions are suggest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nd consuming system of visual products. One is physical dimension which examines whether the physical or technological resources are poor or rich. The other is functional dimension which shows whether the major function of a visual product is pragmatic/economic or symbolic/cultural. With these two dimensions, we can classify the structural pattern of production and consuming of visual products into four categories, which can be named as , , , and . Visual media are classified in three groups by their material bases: pigment, light, and computer program. The physical and technological characters of each medium and their social functions are examined. Visual message is discussed in two dimensions: aesthetic and meaning dimension. Aesthetic elements are reviewed in four areas: line and form, light and colour, space, and movement. Meaning system is analyzed in terms of semiotics and hermeneutics. Semiotics put more emphasis on producer' s point of view, while hermeneutics on consumer' sane. Visual cul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nature and saturation rate of visual media of a society. The development of visual technology makes the elite visual culture in the past as daily routine one at present, and this trend resulted as a cultural movement so-call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