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사회의 이념 공방은 보수와 진보를 표방하는 언론사들에 의해 보수 담론과 진보 담론들 사이에 의미를 둘러싼 치열한 담론적 투쟁으로 전개되어왔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고는 이념 담론을 구성하는 이념적 용어들에 대해 한국언론이 의미를 규정짓는 방식을 분석하고 그러한 의미 창출 방식이 어떠한 사회적 효과를 획득하는지를 문화연구 전통의 접합이론의 이론적 배경에서 논의 한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 이념 담론의 특징은, 보수/진보, 좌파/우파. 자유민주주의/사회주의의 이념적인 요소들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담론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기보다는 서로 밀접하게 접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좌파/우파 담론의 경우 담론 영역의 독자성을 상실하고 보수/진보 담론으로 대체되어 가는 경향을 보이며, 사회주의/자유민주주의는 보수/진보 담론을 옹호 내지는 공격하기 위해 동원되는 개념적 장치들로 사용되고 있다. 둘째, 한국사회의 지배이념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보수를 중심으로 하는 담론구성체는 전통적인 반공이데올로기와 의미를 접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담론적 접합의 사회적 효과는 사상적 획일성과 명확성, 군사 동원주의적 심리 등을 양산한다는 점을 밝힌다. 또한 지배이념에 대한 대항이념으로서의 진보/개혁 담론구성체는 적극적으로 민족, 화해, 협력이라는 의미와 접합하면서 공정경쟁체제 강화와 국가보안법 폐지라는 보수 담론과 대립되는 법적 제도적 실천을 추구하고 있음을 또한 밝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보수 세력이 신봉하는 자유주의-반공주의 이념 역시, 진보 이념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제고되고 비판받음으로써, 오늘날의 한국사회가 민족의 다른 한쪽을 적으로 보지 않고 동족으로 보는 새로운 방향 정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무엇보다, 한국 사회의 사회적 담론 공간이 보수와 진보의 적대적 지형에서 벗어나 보다 유연하게 다양한 이념적 스펙트럼을 담아내야 할 것을 또한 제안한다.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conservative forces and the progressive forces has been recognized as serious social conflict in Korean society since the early 90's. It has manifested itself in the Korean press and been deployed as discursive struggle to acquire hegemonic meanings, especially between the conservative press, Chosun- Ilbo, and the progressive press, Hankurae-Sinmun,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nalyzes how the Korean press defines ideological terms such as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the right and the left; and liberalism and socialism in a social context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iculation theory in the tradition of cultural studies. Furthermore,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y the Korean press define ideological terms and the resulting social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iscursive formation around the conservative, manifested by the Cho-sun Ilbo, as a dominant ideology in Korean society, is articulated by traditional anti-communism. Its effects are apparent as firmness of people's thought, the psychology of military mobilization, and belief of monoism. Secondly, the progressive discursive formation is articulated by the meanings of natio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t has, accordingly, demanded the abolish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fair competition system against the conservative ideology, which is a dominant ideology in Korean socie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pr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ublic sphere in settling the values and institutions that establish liberal democracy. The focus of which should be articulated by the values of natio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