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존의 의제설정효과 연구의 주류를 이뤘던 정치 문제에서 벗어나, 환경 이슈를 주제로 2차 의제설정효과를 다뤘다. 지구 온난화 이슈를 환경 보존의 속성과 경제 발전의 속성으로 구분, 의사(擬似) 온라인 신문을 제작해 실험연구를 한 결과, 매체는 인지적 속성에 비해 정서적 속성 현저성 전이에 더 확실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정서적 속성이 인지적 속성보다 이슈의 현저성 전이에 더 효과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연구는 뉴스 보도의 방향성에 따라 환경 이슈 내에서 상반된 또는 경합하는 속성들이 환경 이슈에 대한 수용자들의 감성적 인식을 선도하며, 이 감성적 인식 전환은 그 방향이 어떻든 간에 수용자들로 하여금 이슈 자체에 대한 중요도를 더욱 높게 평가하도록 만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기존의 정치 이슈 관련 의제설정효과 논문들이 인지적 속성과 이슈 현저성 전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규명한 것과는 사뭇 다른 결과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이슈의 개별 속성 연구를 통해 2차 단계도 이론의 폭이 확장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econd level agenda setting effects of global warming issue and their relation with the issue’s salience transfer. Dividing the issue into pro-environment and con-environment (or pro-economy) attributes and delivering them through pseudo-online newspapers, the study reveals that the media boost the audiences’ perceived affective attribute salience better than substantive attribute salience. It is additionally supported that the affective attribute’ salience transfer more likely affects the issue salience transfer than the substantive attribute does. The study results are quite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es dealing with political issues, because they posited that not the affective but the substantive attributes had closer relation with the issue examined. Consequently, they focused on examining the substantive attributes’ role in public opinion formation. The current research, however, seems to herald that the affective dimension of attributes in the agenda setting study should not be missed but studied further in order to achieve the synthetic understanding of the media effects. As the first level agenda setting effects had broadened its theoretical boundaries by scrutinizing various issues, the second level agenda setting realm can be furthered by exploring diversified attributes of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