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나간 과거에 대한 기억들은, 특히 그 과거를 직접 경험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남아 있는 과거에 대한 기억은 과거를 시각적 이미지로 재현해서 보여주는 사진들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쟁에 대한 집합기억을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밝혀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조선일보사와 전쟁기념관이 공동 주최하고,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6․25 전쟁 50주년 특별기획전(2000)과 휴전 50주년 특별사진전(2003)에 전시된 사진들로 한정하였다. 연구 대상이 된 한국전쟁 사진전시회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레비스트로스가 제시한 이항대립 구조분석 방법을 적용시켰다. 6․25 전쟁 50주년 특별기획전의 분석에서는 한국전쟁 사진에서 선-악의 이항대립 구조가 확연하게 드러났다. 휴전 50주년 특별사진전의 한국전쟁 사진에 대한 이항대립 분석에서는 선-악의 구분이 모호했다. 대신 한국전쟁 이후의 남한-북한을 보여주는 사진들에서 선-악의 대립항을 찾아볼 수 있었다. 기념의 대상이 개전(開戰)에서 종전(終戰)으로 바뀌면서 사진전시회의 구조에도 변화가 있었음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collective memory of Korean War through the photography exhibi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ere two photography exhibitions that were hold at War Memorial, ‘An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nd ‘The Special Exhibi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The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two photography exhibitions. The structure of binary oppositions was suggested to account the symbolic meaning of photography exhibition. The study found that good-evil structure was still remaining in two photography exhibitions. The study also found that good-evil structure wa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South Korea-North Korea opposition. The finding suggests that two exhibitions of Korean war photography play a important role in fixing the structure of South Korea-North Korea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