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신(新) 매체 환경에서 2차 의제 설정 효과와 점화 효과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매체에 보도된 지구 온난화 이슈 중 5가지 속성들의 의제 설정 효과, 그리고 매체 수용자가 해당 의제인 지구 온난화 이슈에 대한 가치 판단 기준을 세울 때 이들 속성들이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실험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신문을 고노출(High Exposure), 중노출(Medium Exposure), 무노출(No Exposure) 등으로 나누어, 이들 중 한 가지 종류의 신문들을 각각 3개의 그룹에 나누어 읽게 했다. 온라인 신문에 나타난 2차 단계 의제, 즉 속성 의제와 온라인 매체에 접한 독자들의 의식을 등위상관으로 점검한 결과, 온라인 신문에서 중요하게 보도한 지구 온난화 이슈의 속성들을 독자들도 중요한 내용으로 받아들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 회귀분석은 의제 설정 2차 단계 효과가 나타난 동일 실험에서, 매체 수용자들이 온라인 매체에 나타난 보도 내용을 보고 지구 온난화 이슈에 대한 자신들의 판단 기준을 세우게 된다는 사실도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도 의제설정 2차 효과와 점화 효과가 발견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econd level agenda setting process and the priming effects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Specifically, it explores the online media's agenda-setting effects on five different attributes of the global warming issue, and the effects' influence on people's shaping their own evaluative dimension relative to the issue. By exposing three groups of subjects, respectively, to three kinds of online newspaper (High, Medium and No Exposure) stimuli, the experiment attempts to determine (1) if there are attribute agenda setting effects in the digital era, and (2) if the attribute salience transfer affects the priming effects. The rank order correlations between the stimuli and the subjects'opinion on the attributes after the exposure to the stimuli support the attribute agenda setting effects of the online newspaper. A paired T-test found the priming effects of the online newspaper on the subjects. Additionally, regression analyses show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ttribute salience transfer and the priming effects. While the study employs the closed experimental setting, the results open a new challenge to revise and apply the methods to the actual environment. Making such a challenge may well broaden our knowledge to understand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its phenomena.